EU 긴축에 남유럽 휘청…"2012년 재정위기 또 온다"

ECB 금리인상 예고에 충격

伊 국채금리 8년 만에 최고치
탄탄한 獨과 격차 2%P 달해
스페인·그리스도 국채가격 하락

코로나로 늘어난 나랏빚 부담
라가르드 총재 "신속 대응할 것"
2012년 남부 유럽을 강타한 재정 위기가 다시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조금씩 커지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40여 년 만에 최악인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긴축 기조로 빠르게 돌아서면서다.

16일(현지시간)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독일 국채(분트)와 이탈리아 국채의 10년 만기 기준 금리격차(스프레드)는 2.0%포인트를 기록했다. 이탈리아 채권 금리가 독일보다 이만큼 높다는 의미다. 격차가 확대될수록 이탈리아 정부의 이자 등 상환 부담은 커진다.

부채 위기 재연되나

지난 14일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8년 만에 처음으로 연 4%대로 치솟았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 5월 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질 뫼크 프랑스 AXA그룹 수석경제학자는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에 “2010년대 유럽을 수렁에 몰아넣었던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채무위기의 데자뷔가 느껴진다”고 밝혔다. 국채 금리 상승은 이탈리아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스페인, 그리스 등 고질적인 재정난을 겪고 있는 남유럽 국가들의 국채 금리도 최근 급격히 오르고 있다.ECB가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이들 국가의 차입비용이 불어날 것이란 우려 때문에 투자자들이 국채를 내다팔고 있는 것이다. 국채 가격 하락은 곧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유로존 경제가 분열될 것이란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것도 유로존 회원국 간 채권금리 격차가 벌어지는 속도가 가팔라지는 이유”라고 분석했다.

FT는 “지금의 상황은 2012년 유로존 채무위기에 비해 더 심각하다”는 진단도 내놨다. 유로존 일부 국가의 재정지출 규모가 10년 전보다 더 늘어났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으로 남유럽 국가들의 주요 수입원인 관광산업도 직격탄을 맞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유럽 국가들이 지출을 늘리게 하는 악재다. 이탈리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2012년 127%에서 현재 150%로 높아졌다. 그리스도 같은 기간 162%에서 185%로 확대됐다. 경기 둔화로 각국 유로존의 세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도 걱정스럽다는 분석이다.

위기 대응 나선 ECB

긴축에 나선 ECB는 최근 “오는 7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고 9월에도 추가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5월 유로존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보다 8.1% 뛰어오르는 등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ECB는 한 번에 0.5%포인트를 올리는 빅스텝 가능성도 열어놨다. 글로벌 금융사 ING의 금리 전략가인 앙투완 부베는 “ECB의 공격적인 긴축은 투자자들의 불안을 자극해 이탈리아 등 취약 국가들의 국채부터 시장에 내던지는 투매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이탈리아 등 남유럽 국가가 위기에 빠지는 악순환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이날 유로존 재무장관 회담에서 회원국 간 채권금리 차이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면 새로 만들고 있는 위기 대응 장치를 곧바로 가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재무장관 회담에서 비이성적인 시장 움직임이 회원국에 압력으로 작용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새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일각에선 유로존을 바라보는 비관적인 시각이 과장됐다는 지적도 있다.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의 선임 경제고문인 프란체스코 지아바치는 “2010년대 재정위기를 겪은 ECB와 각 회원국의 중앙은행은 위기 대처 능력이 탄탄해졌다”며 “EU는 공동 기금 등을 통해 회원국의 채무 비율을 줄여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