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둔화 우려"…더 어두워진 정부 경기 진단
입력
수정
정부가 공식 경기 진단에 올해 들어 처음으로 ‘경기 둔화 우려’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정부가 경기 둔화 우려를 명시적으로 밝힌 것은 코로나19 확산이 본격 시작한 2020년 3월 이후 처음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고(高)물가, 주요국들의 기준금리 인상, 수출 둔화 등 대내외 악재가 겹치며 커지고 있는 ‘복합 위기’ 우려를 반영했다는 평가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간한 ‘6월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대외 여건 악화 등으로 높은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투자 부진, 수출 증가세 약화 등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수출과 투자 부진에 대한 우려에서 더 나아가 우리 경제 전체가 둔화할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을 나타낸 것이다. 그린북은 기재부가 매월 발간하는 책자로 정부가 현재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기재부는 코로나19 위기가 중반기를 넘어선 지난해부터 올해 1월까지도 그린북에 ‘글로벌 경제 회복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표현을 넣었다. 2월부터 이 같은 표현이 빠지고 금리 인상, 공급망 차질, 인플레이션 확대에 따라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진단이 등장하던 것이 5월에는 “글로벌 경기 하방위험이 확대되고 있다”로 더 어두워졌다. 이번 달은 이 표현이 “글로벌 경기 하방위험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로 강도가 한층 더 높아졌다.
이에 대해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경기가 둔화할 것 같을 때 과거 ‘불확실성 확대’, ‘회복세 약화 우려’ 정도로 썼던 걸 좀 더 솔직하게 표현했다”며 “전반적으로 경기가 꺾일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정부가 경계심이 높아진 걸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정부가 밝힌 경기둔화 우려의 근거는 경제의 성장을 이끄는 생산과 투자, 수출이 부진하다는 점이다. 그린북에 따르면 4월 전(全)산업 생산은 광공업생산이 3.3% 대폭 감소하며 전월대비 0.7% 감소했다. 설비투자도 금리 인상 등 불확실성이 커지며 전월대비 7.5%, 전년동월대비 11.9% 급감했다.5월 수출은 반도체, 석유제품 중심으로 전년 동월대비 21.3% 증가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수출에 비해 수입이 더 늘면서 무역수지는 17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여기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5.4%로 13년9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통화 긴축이 불가피해지면서 앞으로 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전날 정부는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1%에서 2.6%로 내리고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2.2%에서 4.7%로 대폭 높였다. 정부는 “비상 경제 대응 체제 전환 등 물가·민생 안정과 거시경제·리스크 관리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기획재정부는 17일 발간한 ‘6월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대외 여건 악화 등으로 높은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투자 부진, 수출 증가세 약화 등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수출과 투자 부진에 대한 우려에서 더 나아가 우리 경제 전체가 둔화할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을 나타낸 것이다. 그린북은 기재부가 매월 발간하는 책자로 정부가 현재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기재부는 코로나19 위기가 중반기를 넘어선 지난해부터 올해 1월까지도 그린북에 ‘글로벌 경제 회복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표현을 넣었다. 2월부터 이 같은 표현이 빠지고 금리 인상, 공급망 차질, 인플레이션 확대에 따라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진단이 등장하던 것이 5월에는 “글로벌 경기 하방위험이 확대되고 있다”로 더 어두워졌다. 이번 달은 이 표현이 “글로벌 경기 하방위험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로 강도가 한층 더 높아졌다.
이에 대해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경기가 둔화할 것 같을 때 과거 ‘불확실성 확대’, ‘회복세 약화 우려’ 정도로 썼던 걸 좀 더 솔직하게 표현했다”며 “전반적으로 경기가 꺾일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정부가 경계심이 높아진 걸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정부가 밝힌 경기둔화 우려의 근거는 경제의 성장을 이끄는 생산과 투자, 수출이 부진하다는 점이다. 그린북에 따르면 4월 전(全)산업 생산은 광공업생산이 3.3% 대폭 감소하며 전월대비 0.7% 감소했다. 설비투자도 금리 인상 등 불확실성이 커지며 전월대비 7.5%, 전년동월대비 11.9% 급감했다.5월 수출은 반도체, 석유제품 중심으로 전년 동월대비 21.3% 증가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로 수출에 비해 수입이 더 늘면서 무역수지는 17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여기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5.4%로 13년9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통화 긴축이 불가피해지면서 앞으로 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전날 정부는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1%에서 2.6%로 내리고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2.2%에서 4.7%로 대폭 높였다. 정부는 “비상 경제 대응 체제 전환 등 물가·민생 안정과 거시경제·리스크 관리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