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반도체 산업 '국가 안보'로 육성…TSMC의 성장 비결"
입력
수정
교육차관, 서울대 반도체연구소 방문“반도체 분야 교수를 구하는 게 너무 어렵습니다. 계약학과를 운영할 때 학생 정원을 늘리는 등 다른 문제는 다 노력해서 해결할 수 있는데, 교수 확보는 해결이 안됩니다.”(이혁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서울대교수들 교수진 확보 중요성 강조
이 교수는 20일 서울대 반도체 공동연구소에서 열린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차세대반도체·빅데이터 컨소시엄 현장 간담회’에서 교수진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 같이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재 양성을 강력히 주문한 가운데 교육부가 반도체 학과 증원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반도체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은 정원을 늘리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고 지적했다.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은 “대만은 10년 전부터 반도체가 대만을 중국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국가 안보’라고 생각하고 인재를 키우고 있다”며 “대만의 TSMC같은 기업을 따라가려면 한국의 지금 스케일로는 어렵고, 앞으로 반도체 연구를 훨씬 더 크게 키워야 한다”고 했다.
첨단산업 분야에서도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는 얘기도 나왔다. 이찬호 숭실대 교수는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에서는 학생들을 신규채용한 후 9~10개월 가량 다시 가르치는데, 대학 과정과 크게 달라 보이지는 않는다”면서 “기업이 각 대학의 교육과정을 못 믿는 것 같다”고 했다. 이어 “대학에서 개별적인 회사와 컨택해 모든 교육과정을 맞추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반도체 협회에서 기업들의 의견을 모아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자동차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 넥스트칩의 천이우 상무는 이날 “기업들에서는 획일화된 인재보다는 다양한 분야를 익힌 인재를 원한다”며 “대학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교육부에서는 학계와 산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여러 개의 대학이 협력하는 혁신공유대학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혁신공유대학은 대학 간 경계를 허물어 학생들이 전공과 관계없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차세대 반도체, 미래차, 빅데이터 등 8개 신기술 분야 교육과정이 마련돼있다.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사업을 추진해 전문대와 학부 수준의 ‘나노·마이크로 학위’ 과정을 운영 중이며, 올해 5만여명의 학생이 수업을 듣고 있다. 전공생, 대학원 수준의 고급 교과목은 개발 중이다.이날 간담회에서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주변국과의 경쟁상황 속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더욱 성장시켜나가기 위해서는 우수한 반도체 인재의 조속한 공급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교육부는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분야 산업 인재 양성을 교육부의 핵심적인 업무로 생각하고 이번 정부 5년 동안 전력을 다해 추진해나가겠다”고 했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