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29~30일 나토 정상회의 참석…"김건희 여사도 동행할 듯" [종합]
입력
수정
한국 대통령 최초로 나토 정상회의 참석
한일정상회담 개최 여부 주목…현재로선 예측불가
대통령실 "나토 회의 참석, 반중·반러 정책 아냐"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22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다.윤 대통령의 참석은 나토가 한국과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아시아·태평양 파트너' 4개국 정상을 초청한 데 따른 것이다. 나머지 3개국 정상들도 참석 의사를 밝혔다. 김 실장은 한국 정상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 의미를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가치 연대 강화 △포괄적 안보기반 구축 △신흥 안보에 대한 효과적 대응 모색 3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김성한 실장은 먼저 '가치연대 강화'와 관련해선 "나토를 구성하는 30개 동맹국은 자유민주주의·법치·인권 등 보편적 가치와 규범을 공유하는 우리의 전통 우방국"이라며 "이번 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북핵·북한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입장을 상세히 설명하고 참석국의 광범위한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괄적 안보기반 구축' 측면에선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 예측 불가능한 국제 정세 속에서 나토 동맹국들과 함께 포괄적 안보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이라며 "집단안보가 아닌 포괄협력을 나토와 도모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특히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우리도 글로벌 리더 국가로서 역할을 한다는 차원에서 이미 공여된 지원 외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지원 추가 공여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두고 '반중·반러 정책의 고착화'란 지적이 일각에서 나오는 데 대해 "포괄적인 안보 차원에서 회원국 및 파트너국과의 네트워크 확대·심화를 위해 가는 것이기 문에 한국의 나토 회의 참석을 반중·반러 정책으로 대전환이라고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반박했다.
다만 양 정상이 이른바 '풀어사이드'(pull aside·약식 회담) 형태 등으로 대화하거나 환담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현재로서는 전혀 예측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양 정상은 나토 회의 계기 한·일·호·뉴 4개국 정상회담을 통해 만남의 기회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도 열려 있다..이번 순방엔 북한 7차 핵실험 징후 등 한반도 안보 상황이 엄중한 점을 고려해 김 실장은 서울에 남아 현안을 챙기기로 했다. 대신 김태효 안보실 1차장과 이문희 외교비서관이 순방을 수행한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나토 정상회의 일정에 동행하는 문제와 관련, "공식적인 배우자 프로그램에 가급적 참여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해 동행 가능성을 시사했다.
류은혁 한경닷컴 기자 ehry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