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라씨로] 태양광株, 미국의 中신장산 수입금지에 강세
입력
수정
경라씨로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장 종목들의 시세, 수급, 시황 등을 분석합니다. '한경라씨로' 앱을 내려 받으면 매일 시간대별로 특징적인 종목 정보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작년 12월23일 서명한 ‘위구르족 강제노동 금지법’(UFLPA)이 지난 21일(현지시간) 발효됐다는 게 부각된 영향으로 보인다. 이 법의 발효 직후인 전일에는 국내 증시가 급락한 탓에 태양광 관련주의 호재가 힘을 쓰지 못했다.
UFLPA에 따라 미 관세국경보호청(USCBP)은 신장 지역에서 생산된 모든 제품을 강제 노동에 따른 산물로 간주해 수입을 금지한다. 기업들이 규제를 면제받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이 강제노동의 산물이 아니라는 명확한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한국의 태양광 기업들은 중국산 폴리실리콘을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UFLPA 발효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국내 최대 폴리실리콘 생산업체인 OCI는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주로 폴리실리콘을 생산한다. 중국 기업이 아닌 폴리실리콘 생산업체는 OCI를 비롯해 독일의 바커, 미국의 헴록 등 3곳 뿐이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