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수준 1천300원 뚫은 환율…"단기 상단 1,350원선 가능"

당분간 변동성 확대 불가피…추가 상승 전망
"한국 경제체력에 비해 지나치게 평가절하"…조만간 안정 예상도
당국 "시장 불안 최소화하고 안정 노력"
원/달러 환율이 경제 위기 수준에서나 이르렀던 1,300원을 돌파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고물가와 미국의 고강도 긴축정책,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환율 변동성 확대가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본다.일각에선 환율이 단기적으로 달러당 1,350원선까지 추가 상승할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유럽의 긴축 예고와 물가 안정화 조짐 등 대외 금융환경과 한국경제의 기초여건을 고려할 때 최근과 같은 고환율은 오래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 美 자이언트 스텝에 경기침체 우려까지…외환시장 후폭풍
23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9분께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302.8원으로 1,300원을 돌파했다.원/달러 환율이 장중 1,300원을 넘어선 것은 2009년 7월 14일(고가 기준 1,303.0원) 이후 12년 11개월여 만에 처음이다.

글로벌 물가 상승세 지속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가파른 긴축 기조,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가 달러화 강세에 기본적 배경이 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을 팔아치우고 있는 것도 원/달러 환율 급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전날 연준의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을 인정하는 발언을 해 금융시장에는 위험회피 심리가 더욱 강해졌다.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 가능성에 따른 외국인 자금 이탈도 원화 약세를 가속하는 요인이다.

시장에선 연준이 7월에도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인상)을 시사함에 따라 조만간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이 가시화할 것이란 관측을 내놓는다.과거엔 한미 금리 역전 시기에도 외환 스와프포인트가 강세를 띠면서 외국인 채권 자금이 유입됐지만, 최근 여건은 이전과 달리 외국인 자금 유입에 우호적이지 않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 1,300원 상회, 외환위기·금융위기 등 3차례
역대로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300원 위로 치솟았던 사례는 세 차례에 불과하다.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받았던 1997년 말 외환위기 당시 환율이 2,000원선 가까이 치솟은 바 있고, 1998년까지 장기간 환율이 1,300원대 이상에서 머물렀다.

이어 2001∼2002년 일본의 제로금리 정책에 따른 엔저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한동안 달러당 1,300원대에 머물렀다.

이후 2000년대 중후반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900원대까지 떨어졌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으로 2008∼2009년 다시 1,300원 위로 치솟은 바 있다.

◇ "저항선 무너져 단기적으로 1,350원까지 상승 가능"
시장 전문가들은 강력한 심리적 저항선인 달러당 1,300원선이 뚫림에 따라 환율이 단기적으로 1,350원선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본다.

1,300원이란 상징적인 '빅피겨'가 뚫린 만큼 시장의 강한 달러화 매도 심리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백석현 신한은행 연구원은 "경기 침체 전망이 시장을 지배하고 한국의 수출 전망도 악화해 원화 약세 압력이 커지는 상황"이라며 "달러당 1,350원까지 상단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도 "1,300원선은 금융위기 이후 한 번도 도달하지 않았던 레벨"이라며 "만약 오늘 종가가 1,300원선을 넘어가게 된다면 1,350원까지 상단을 열어둬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시장 일각에선 정부가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을 추진하는 등 시장에 강력한 안정화 신호를 보내야 원화 약세가 수그러들 것이란 시각이 나온다.
◇ "단기 변동성 확대 불가피…조만간 안정될 것" 관측도
일부 전문가들은 외환시장의 단기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지만, 일각에선 달러화가 1,300원선을 넘어 지속적으로 상승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을 내놓는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지금 환율은 오버슈팅 영역"이라며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을 고려했을 때 상대국 대비 지나치게 평가절하됐다고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 등 미국 외 주요국이 긴축을 예고했고, 물가도 점차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보인다"며 "하반기로 갈수록 달러화 강세 압력이 점차 약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정희 국민은행 연구원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물가 부담이 다소 완화되고 미 국채 금리 하락이 달러화에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환율이 장기적으로 1,300원선을 상회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환율의 가파른 상승에 따른 외환당국의 개입도 환율의 상승을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정부는 환율 상승에 따른 시장 불안 등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필요하면 시장안정 노력을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