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브라질 가뭄에 콩값 '22년 만에 최고'…中봉쇄 해제로 더 뛴다
입력
수정
지면A10
글로벌 푸드플레이션 습격미국 남동부 노스캐롤라이나주 윌슨 카운티에서 2대째 농사를 짓고 있는 브룩스 반스 씨는 3000에이커(1에이커=약 4047㎡)의 땅을 경작한다. 그러나 올해 콩을 심은 땅에선 싹이 나지 않았다. ‘가물에 콩 나듯’이란 속담이 나올 만큼 콩은 날씨에 민감하다. 노스캐롤라이나에는 한 달째 비 소식이 없다.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에는 콩 파종 시기를 놓친 농부가 많다. 지난달 토네이도가 오면서 집과 농기계들이 망가졌고 땅은 물러졌다. 사우스다코타 농장국장인 스콧 밴더월은 “농부들은 작물 심는 걸 포기하고 농작물 재해보험에 기대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쌀, 보리, 밀, 옥수수와 함께 세계 5대 식량작물로 불리는 콩 선물 가격이 올 들어 사상 최고가에 근접했다. 주산국인 브라질과 미국에 이상기후가 덮쳐 공급 차질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반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수요는 크게 늘고 있다.
(5) 천정부지로 치솟은 콩가격
우크라 해바라기씨유 대체재로
수요 느는데 공급 턱없이 부족
올들어 가격 20% 가까이 껑충
브라질 올 생산 10% 줄어드는데
'최대 수입국' 중국 수요 회복 조짐
식용유·바이오연료 활용도 늘어
미국과 브라질 작황 우려
지난 9일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콩 7월물은 부셸(약 25.4㎏)당 17.69달러에 거래됐다. 2012년 9월 미국 가뭄 당시 기록한 사상 최고가(17.71달러)에 근접했다. 올 들어 23일까지 평균 가격은 부셸당 16.20달러로 연간 기준으로 2000년 이후 가장 높다. 전년(13.75달러) 대비 18% 올랐다.공급 차질 우려가 가장 큰 원인이다. 콩 생산 세계 1위 국가는 브라질이다. 미국 농무부(USDA)에 따르면 브라질의 2022년산(2021년 10월~2022년 9월) 콩 생산량은 1억2500만MT(메트릭톤)으로 전망된다. 전년(138만MT) 대비 1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질은 세계 생산량의 36%, 수출의 53%를 차지한다. 생산 및 수출 2위인 미국의 2022년산 콩 생산량은 1억2071만MT(생산 점유율 35%)으로 추산된다.두 나라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상기후에 시달리고 있다. 브라질에선 마투그로수, 파라나, 히우그란지두술 등 주요 콩 재배지인 남부 지역이 라니냐 현상으로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다. 미국은 열돔 현상으로 가뭄과 폭염, 홍수, 토네이도가 함께 발생하고 있다. 밀워키 등 일부 지역은 기온이 이미 42도를 넘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미국의 콩 경작 면적이 USDA가 발표한 9100만 에이커보다 적은 8873만5000에이커에 그칠 것이라고 밝혔다.
“봉쇄 푸는 중국 수요 크게 늘 것”
콩은 식량 외에 대두유(콩기름)와 사료, 바이오연료 원료로 사용되는 등 쓰임새가 다양하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해바라기씨유와 바이오에너지 연료 대체재로 수요가 크게 늘었다. 여기에 세계 1위 콩 수입국인 중국이 봉쇄를 풀면서 수급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중국은 콩 수입 의존도가 80%를 웃돈다. 지난해 전체 소비량 1억2000만MT 중 약 1억MT이 외국산이다. 다만 올 상반기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콩 수입도 줄었다. 브라질 경제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중국에 수출한 콩이 2874만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000만t) 대비 28% 감소했다.중국 수요는 봉쇄 조치가 풀리면서 회복될 가능성이 크다. KOTRA는 최근 보고서를 내고 “콩 재고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중국 콩의 평균 도매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신들은 중국이 미국에서 콩 수입을 늘리는 움직임이 감지됐다고 보도하고 있다.
콩으로 만드는 대두유도 식용유와 바이오연료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다. S&P글로벌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이달 20일까지 유럽연합(EU)의 대두유 수입은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전쟁으로 우크라이나의 해바라기씨유 수출이 막힌 반사효과다.
USDA는 전 세계에서 2022년 10월~2023년 9월 대두유 120억 파운드가 바이오연료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했다. 전년 동기(107억 파운드) 대비 12% 늘어난 수치다. 미국 대두유 선물 가격은 4월 파운드당 90.6센트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KOTRA는 “인플레이션으로 비료값과 인건비 등 콩 생산 비용까지 늘어난 상황”이라며 “한국은 콩 자급률이 6.6% 수준으로, 주요 생산국 사정에 따라 물량 확보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