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경제학 '거두' 조순 별세…제자들 "현실 떠난 학문 경계했던 인생의 스승"
입력
수정
23일 한국 경제학계의 '거두'였던 조순 전 경제부총리가 별세했다. 그는 실증주의 경제학을 국내에 전파한 인물이면서 경제부총리, 한국은행 총재, 서울시장, 민선 초대 서울시장, 제15대 국회의원 등을 지내며 현실 정치·경제에도 굵직한 족적을 남겼다.
미국 UC버클리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1967년 귀국해 모교인 서울대 상대 부교수로 부임한 그는 1970년부터는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로 있으며 수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안정과 균형성장을 강조한 고인의 학풍을 따르는 제자그룹을 ‘조순학파’라고 부를 정도다.학계 뿐 아니라 정·관계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그를 추억하는 제자들의 이야기를 모아봤다. (조순 전 경제부총리를 추억하는 제자들은 그를 '선생님'이라 불렀다. 각각의 이야기는 최대한 실제 표현을 살렸다.)
◆김중수 전 한국은행 총재
"학자로서는 우리에게 근대 경제학을 가르쳐 주신 분이고 제겐 새로운 학문에 눈을 떼게 된 계기가 된 분이다. 항상 누구에게나 자상했던 분이다. 학교에서 지식을 배우는 스승이라기보다 인생의 스승이었다.""조순 선생님은 사회 과학은 현실을 떠나선 존립하기 어렵다는 것을 강조했다. 아카데믹스에서 학문에만 정진하는 것이 이상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사회과학은 현실 문제를 떠나서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선생님은 직접 정부에서, 한은에서 일하며 현실 문제에 참여했다. 조순 선생님 제자 중엔 학계 뿐 아니라 관계나 정치계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라 생각한다."
◆김영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조순 선생님은 학자로서 팩트에 입각한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해법을 내놓는 학문을 해야 한다고 말씀을 많이 했다. 가장 평소에 많이 하신 말씀이 '실사구시'였다. 언젠가 “우리가 우리 인체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것처럼 경제학을 하지만 현실 경제에 대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많다”고 얘기하신 적이 있다. 조순 선생님이 평소 겸손함을 특히 강조하셨는데 학문도 그리고 정책도 그런 자세로 임하셨던 것 같다. 저처럼 공부하는 사람 뿐 아니라 많은 이들이 되새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
"학교 다닐 때 조순 선생님 화폐금융론 수업을 들었는데 정말 충격적이었다. 당시만해도 국내에 나와있는 교과서나 강의가 딱딱하고 알아듣기가 어려운 방식이었는데, 조순 선생님 강의는 너무 명료하고 알아듣기 쉬웠다. 제가 경제학에 흥미를 갖게 된 것이 조순 교수님 화폐금융론 강의와 경제원론 교과서였다."
"유학 갈 때 추천서를 받으러 갔는데 제 라스트네임(성)을 'BARK'로 해서 가니까 “이건 개 짖는 소리란 뜻이다”라고 하면서 스펠링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애기하신 적이 있다. 그런데 토플과 GRE 시험을 다 저 이름으로 했고, 여권도 이렇게 돼 있어서 지금은 안되고 미국 가서 바꾸겠다고 하고 유학을 갔다. 그래서 성을 'BAHK'로 바꾸고 지금도 쓰고 있다. 조순 선생님이 제 영어 이름을 바꾼 셈이다.""조순 선생님이 한학에 조예가 깊다. 고전을 오랫동안 공부하시면서 제 보기엔 삶이든 경제 정책이든 다양한 측면에서 ‘중용’이라는 것을 중시하신 것 같다. 제가 학생 운동을 할 때 학생들이 마르크스주의에 많이 빠져 있었는데, 그 때도 교수로서 중용를 강조했고, 이후에 관료, 정치인의 삶을 살면서 행했던 여러 일들도 과격하고 극단적인 원리주의보다는 중용을 지향하는 모습을 꾸준히 보여줬다. 요즘처럼 양극화된 시대에 조순이 지향했던 중용의 가치를 다시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좌승희 전 박정희기념재단 이사장
"경제학은 당위 이론적 경제학이 있고, 실증경제학(Positive Economics)이 있는데, 우리 경제학은 과거 실사구시적인 경제학 교육이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조순 선생님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경제학 공부를 하고 왔고, 한국에서 이분이 가르쳤던 경제학의 타이틀이 실증경제학이었다. 경제학이 그전까진 이상을 실현하는 수단, 이상론에 치우진 측면이 있었는데 1960년대가 경제학이 점차 실증과학으로 바뀌는 시점이었다. 조순 선생님은 한국 경제학의 방향을 실증과학적인 경제학으로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조순 선생님이 정치일을 정리하고 나서 하신 얘기중에 잊혀지지 않는 것이 하나가 있다. 조순 선생이 말씀하시길 정치를 하다보니 어느날 내가 정말 거짓말을 잘하는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으셨다는 것이다. 그런 생각이 들자 곧바로 정치를 떠나 다시 학자로 돌아가야겠다는 생각을 굳히게 됐다는 것인데, 그만큼 양심적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책을 많이 하셨던 분이다. 조순 선생이 항상 정치는 곧 바른 것이다란 뜻인 ‘정자정야’란 휘호를 쓰시곤 했다. 그리고 평생을 그 소신을 지킨 분이었다고 생각한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미국 UC버클리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1967년 귀국해 모교인 서울대 상대 부교수로 부임한 그는 1970년부터는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로 있으며 수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안정과 균형성장을 강조한 고인의 학풍을 따르는 제자그룹을 ‘조순학파’라고 부를 정도다.학계 뿐 아니라 정·관계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그를 추억하는 제자들의 이야기를 모아봤다. (조순 전 경제부총리를 추억하는 제자들은 그를 '선생님'이라 불렀다. 각각의 이야기는 최대한 실제 표현을 살렸다.)
◆김중수 전 한국은행 총재
"학자로서는 우리에게 근대 경제학을 가르쳐 주신 분이고 제겐 새로운 학문에 눈을 떼게 된 계기가 된 분이다. 항상 누구에게나 자상했던 분이다. 학교에서 지식을 배우는 스승이라기보다 인생의 스승이었다.""조순 선생님은 사회 과학은 현실을 떠나선 존립하기 어렵다는 것을 강조했다. 아카데믹스에서 학문에만 정진하는 것이 이상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사회과학은 현실 문제를 떠나서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선생님은 직접 정부에서, 한은에서 일하며 현실 문제에 참여했다. 조순 선생님 제자 중엔 학계 뿐 아니라 관계나 정치계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라 생각한다."
◆김영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조순 선생님은 학자로서 팩트에 입각한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해법을 내놓는 학문을 해야 한다고 말씀을 많이 했다. 가장 평소에 많이 하신 말씀이 '실사구시'였다. 언젠가 “우리가 우리 인체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것처럼 경제학을 하지만 현실 경제에 대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많다”고 얘기하신 적이 있다. 조순 선생님이 평소 겸손함을 특히 강조하셨는데 학문도 그리고 정책도 그런 자세로 임하셨던 것 같다. 저처럼 공부하는 사람 뿐 아니라 많은 이들이 되새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
"학교 다닐 때 조순 선생님 화폐금융론 수업을 들었는데 정말 충격적이었다. 당시만해도 국내에 나와있는 교과서나 강의가 딱딱하고 알아듣기가 어려운 방식이었는데, 조순 선생님 강의는 너무 명료하고 알아듣기 쉬웠다. 제가 경제학에 흥미를 갖게 된 것이 조순 교수님 화폐금융론 강의와 경제원론 교과서였다."
"유학 갈 때 추천서를 받으러 갔는데 제 라스트네임(성)을 'BARK'로 해서 가니까 “이건 개 짖는 소리란 뜻이다”라고 하면서 스펠링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애기하신 적이 있다. 그런데 토플과 GRE 시험을 다 저 이름으로 했고, 여권도 이렇게 돼 있어서 지금은 안되고 미국 가서 바꾸겠다고 하고 유학을 갔다. 그래서 성을 'BAHK'로 바꾸고 지금도 쓰고 있다. 조순 선생님이 제 영어 이름을 바꾼 셈이다.""조순 선생님이 한학에 조예가 깊다. 고전을 오랫동안 공부하시면서 제 보기엔 삶이든 경제 정책이든 다양한 측면에서 ‘중용’이라는 것을 중시하신 것 같다. 제가 학생 운동을 할 때 학생들이 마르크스주의에 많이 빠져 있었는데, 그 때도 교수로서 중용를 강조했고, 이후에 관료, 정치인의 삶을 살면서 행했던 여러 일들도 과격하고 극단적인 원리주의보다는 중용을 지향하는 모습을 꾸준히 보여줬다. 요즘처럼 양극화된 시대에 조순이 지향했던 중용의 가치를 다시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좌승희 전 박정희기념재단 이사장
"경제학은 당위 이론적 경제학이 있고, 실증경제학(Positive Economics)이 있는데, 우리 경제학은 과거 실사구시적인 경제학 교육이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조순 선생님은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경제학 공부를 하고 왔고, 한국에서 이분이 가르쳤던 경제학의 타이틀이 실증경제학이었다. 경제학이 그전까진 이상을 실현하는 수단, 이상론에 치우진 측면이 있었는데 1960년대가 경제학이 점차 실증과학으로 바뀌는 시점이었다. 조순 선생님은 한국 경제학의 방향을 실증과학적인 경제학으로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조순 선생님이 정치일을 정리하고 나서 하신 얘기중에 잊혀지지 않는 것이 하나가 있다. 조순 선생이 말씀하시길 정치를 하다보니 어느날 내가 정말 거짓말을 잘하는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으셨다는 것이다. 그런 생각이 들자 곧바로 정치를 떠나 다시 학자로 돌아가야겠다는 생각을 굳히게 됐다는 것인데, 그만큼 양심적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책을 많이 하셨던 분이다. 조순 선생이 항상 정치는 곧 바른 것이다란 뜻인 ‘정자정야’란 휘호를 쓰시곤 했다. 그리고 평생을 그 소신을 지킨 분이었다고 생각한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