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 참전 美 영웅, 성조기·태극기 품고 영면
입력
수정
지면A33
한국전 참전 영웅이자 한·미 동맹의 상징적 인물로 거론돼온 윌리엄 웨버 미군 예비역 대령이 6·25 전쟁 발발 72주년을 사흘 앞둔 22일(현지시간) 성조기와 태극기를 품에 안고 영원한 안식처를 찾았다.
지난 4월 9일 향년 97세로 별세한 웨버 대령의 안장식이 이날 미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서 엄숙하게 거행됐다. 웨버 대령은 한국전에서 크게 다쳐 평생 고통을 겪었지만, 전역 후에도 동맹 강화와 참전용사 지원 사업을 활발히 벌인 한·미 동맹의 산증인으로 통한다.그가 거주하던 메릴랜드주 프레데릭을 출발한 운구 행렬은 생전 그의 바람에 따라 워싱턴DC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공원을 먼저 둘러본 뒤 인근에 있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도착했다.
웨버 대령은 참전공원에 서 있는 ‘19인 동상’의 실제 모델이기도 하다. 안장식에는 부인 애널리 웨버 여사(93)를 비롯해 며느리, 손녀 등 가족과 지인, 재향군인회 인사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최근 부임한 조태용 주미 대사도 자리를 함께해 유족을 위로했다. 웨버 대령의 관에는 미국 국기인 성조기와 태극기가 나란히 들어갔다. 한국계 미군 퇴역군인 송주섭 씨가 두 달 전인 4월 22일 웨버 대령의 추도식 때 유족의 양해를 얻어 양국 국기를 관속에 넣었다. 웨버 대령은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공수 낙하산부대 작전장교(대위)로 참전해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 서울수복작전 등에서 활약했다. 1951년 2월 강원 원주 북쪽 324고지에서 오른팔과 오른 다리를 잃는 큰 상처를 입었다. 미국에서 치료 후 1980년 전역했다.
고인은 한국전 참전용사기념재단(KWVMF) 회장을 맡아 6·25전쟁의 의미를 알리는 활동도 왕성하게 펼쳤다. 1995년 워싱턴DC 한국전 참전 기념비가 완공되는 데 크게 기여했고, 기념공원 내에 한국전 전사자 명단을 새기는 ‘추모의 벽’ 건립 사업에 앞장섰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
지난 4월 9일 향년 97세로 별세한 웨버 대령의 안장식이 이날 미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에서 엄숙하게 거행됐다. 웨버 대령은 한국전에서 크게 다쳐 평생 고통을 겪었지만, 전역 후에도 동맹 강화와 참전용사 지원 사업을 활발히 벌인 한·미 동맹의 산증인으로 통한다.그가 거주하던 메릴랜드주 프레데릭을 출발한 운구 행렬은 생전 그의 바람에 따라 워싱턴DC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공원을 먼저 둘러본 뒤 인근에 있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도착했다.
웨버 대령은 참전공원에 서 있는 ‘19인 동상’의 실제 모델이기도 하다. 안장식에는 부인 애널리 웨버 여사(93)를 비롯해 며느리, 손녀 등 가족과 지인, 재향군인회 인사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최근 부임한 조태용 주미 대사도 자리를 함께해 유족을 위로했다. 웨버 대령의 관에는 미국 국기인 성조기와 태극기가 나란히 들어갔다. 한국계 미군 퇴역군인 송주섭 씨가 두 달 전인 4월 22일 웨버 대령의 추도식 때 유족의 양해를 얻어 양국 국기를 관속에 넣었다. 웨버 대령은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공수 낙하산부대 작전장교(대위)로 참전해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 서울수복작전 등에서 활약했다. 1951년 2월 강원 원주 북쪽 324고지에서 오른팔과 오른 다리를 잃는 큰 상처를 입었다. 미국에서 치료 후 1980년 전역했다.
고인은 한국전 참전용사기념재단(KWVMF) 회장을 맡아 6·25전쟁의 의미를 알리는 활동도 왕성하게 펼쳤다. 1995년 워싱턴DC 한국전 참전 기념비가 완공되는 데 크게 기여했고, 기념공원 내에 한국전 전사자 명단을 새기는 ‘추모의 벽’ 건립 사업에 앞장섰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