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달러 사두면 1년 후에 대박 날까, 쪽박 찰까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입력
수정
지면A19
원·달러 환율 상승지난주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을 넘어서면서 온통 난리다. 과거 아시아 외환위기, 리먼브러더스 사태 등과 같은 대형 위기가 발생했을 때만 이 선을 넘었던 만큼 제2 외환위기, 미증유 퍼펙트스톰 등 각종 위기설이 난무하고 있다. 정책당국도 금융시장 안정 대책을 찾느라 부산하다.
예상 가능했던 수준
과민 반응땐 역효과
금리 급격히 올리면
이자부담→ 침체 →
외인이탈→환율상승
악순환 국면 빠질수도
지금 달러 투자하면
수익률 미미할 가능성
현시점에서 먼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1300원 이상의 원·달러 환율 수준’을 예상하지 못했느냐는 점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원·달러 환율은 두 단계로 구분된다. 첫 단계는 2020년 3월 1285원이던 원·달러 환율이 1082원으로 급락한 작년 초까지다. 각국의 격리 대응으로 자본 이동이 원활하지 않았던 이 시기에 미국이 달러화를 가장 많이 풀었다. 번째 단계는 백신 보급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정상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원·달러 환율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시기다. 작년 초 이후 원·달러 환율은 19% 올라 같은 기간 달러인덱스 상승률인 18%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우리가 속한 선발 신흥국의 환율 상승률인 20%보다 낮은 수준이다.
충분히 예상됐던 원·달러 환율 수준에 너무 과민하게 반응하면 리처드 데이비스가 주장한 ‘극한 경제’에 몰릴 수 있다. 마치 무슨 일이 난 것처럼 정책당국이 요란하게 대응하면 오히려 달러 수요를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상징성이 큰 선(big figure)이 무너졌을 때 균형과 평정심을 유지하는 것은 ‘정부의 실패’를 방지하는 데 최우선 과제다.원·달러 환율이 1300원을 넘어선 상황에서 대책을 모색하더라도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 얼마나 있느냐 하는 점이 문제다. 경제변수는 관리 가능 여부에 따라 ‘통제변수’와 ‘행태변수’로 나뉜다. 전자는 우리가 쓸 수 있는 수단이 많고 효과도 볼 수 있지만 후자는 가용 수단이 제한되고 효과도 불투명하다.
작년 초 이후 원·달러 환율이 올라가는 것에 대해 통계기법상 요인 분석을 해보면 우리보다 미국 측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달러 가치는 머큐리(mercury·펀더멘털) 요인과 마스(mars·정책)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작년에 원·달러 환율이 올라간 것은 머큐리 요인이 컸다. 지난해 미국이 6.7% 성장한 데 비해 우리는 4% 성장에 그쳤기 때문이다.
올해 원·달러 환율이 올라가는 것은 마스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뒤늦게 인플레이션의 심각성을 인식한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 3월 회의에서 0.25%포인트를 시작으로 회의 때마다 한 단계씩 높여 금리를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요인을 따진다면 경기 부진과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무역적자를 들 수 있다.일부에서 원·달러 환율의 상승 요인으로 한·미 간 금리 역전 우려에 따른 달러 캐리 자금의 청산을 지목하는 시각이 있으나 미국도 주가와 채권 가격, 심지어 집값까지 떨어지고 있어 이 시각은 쉽게 이해가 안 간다. 오히려 국내 증시에서 이탈한 외국인 자금은 경기 회복 기대가 높아지는 중국으로 들어가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각종 위험에 노출된 신흥국의 위기 대책은 경기, 무역수지 등과 같은 펀더멘털 건전성 확보에 초점을 둬야 한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것을 달러 캐리 자금의 청산으로 인식해 우리도 금리를 빅스텝 이상으로 올려 대응할 경우 ‘이자 부담→경기 침체→외국인 자금 이탈→원·달러 환율 상승’의 악순환 국면에 빠질 수 있다.
인플레이션 문제도 한국은행 분석대로 해외에서 제공하는 공급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다면 금리 인상뿐만 아니라 감세와 규제 완화, 생산성 증대, 공급망 확보, 임금 상승 자제 간 정책 혼합(policy mix)이 더 효과적이다. 인플레이션 극복도 한은이 주도하기보다 정부, 정치인, 기업, 금융사, 국민 등 모두가 나서야 한다.
달러 투자도 그렇다. 작년 초에 달러를 사뒀더라면 지금은 달러당 220원 이상 환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 달러를 사면 일부에서 예상하는 1350원까지 오르더라도 50원, 수익률로는 외화 수수료를 감안하면 3%도 안 된다. 오히려 내 개인적인 행동으로 우리 국민 전체에 커다란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