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복원 나섰지만…대학 연구현장은 이미 초토화
입력
수정
지면A1
원전 '잃어버린 세대'“탈원전 정책이 없었다면 광화문에서 1인 시위할 시간에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연구하지 않았을까요….”
"생태계 복원 20년 걸릴 것"
KAIST 원전전공 4명뿐
단국대는 다른과와 통합
기존 산업현장 엘리트들
일자리 찾아 중국·중동行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조재완 씨는 이렇게 한탄했다. 조씨는 경수로형 원전 안전을 보장하는 핵심 기술인 열수력 계통 연구자다. 그러나 지난 3년간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을 알리는 사회 활동에 집중하느라 학업에 전념하지 못했다. 조씨는 “법과 절차, 과학을 무시하고 탈원전을 강행한 책임자들이 대가를 확실하게 치렀으면 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서 적극적으로 원전 세일즈 외교를 펼치는 등 ‘원전산업 부활’을 거듭 강조하고 있지만 과연 ‘원전 연구 생태계’를 되살릴 수 있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존 산업 현장의 원전 엘리트들이 무더기로 중국과 중동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난 데 이어 주요 대학 원자력 학과가 존폐 위기에 처하면서 원천기술을 개발할 기반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1일 KAIST에 따르면 올해 이 대학 원자력 학부 전공 지원생은 4명에 그쳤다. 탈원전 전인 2016년(22명)의 18% 수준으로 급감했다. 단국대는 원자력 전공이 다른 과에 통폐합되면서 사라졌다. 중앙대는 현 4학년생 31명 전원이 최근 “대학원에 가지 않겠다”고 밝혔다.미국을 필두로 세계 각국이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SMR 연구도 국내 대학에선 거의 찾아볼 수 없다. SMR은 대형 원전 대비 크기와 출력을 3분의 1 이하로 줄이고 안전성을 높인 차세대 원전이다. 2035년 시장 규모가 6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최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SMR의 역할을 거듭 강조하기도 했다.
김성중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SMR 같은 ‘게임체인저’ 기술은 대학에서 꾸준히 인력을 양성해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탈원전으로 20년은 손해 봤다”고 지적했다.
이해성/김진원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