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 만에 멈춰선 건설 현장…"지체상금 물게 생겼습니다"
입력
수정
레미콘운송노동조합 집단 운송 거부 돌입
레미콘 업계 "마진율 3%…과도한 요구"
협상 난항에 건설사들 "공사 기간 못 맞춰 배상할 판"
2일 수도권 한 공사 현장 관계자는 "이제 공사에 속도를 내나 싶었는데 열흘 만에 또 멈췄다"며 "파업을 하려면 한 번에 하지, 시차를 두니 공사만 못 하게 됐다"고 토로했다. 그에 따르면 이 공사 현장은 화물연대 파업 여파에 한차례 홍역을 앓았다. 최근 시멘트 공급이 정상화하며 건설에 속도를 높이려던 차에 재차 레미콘운송노동조합(운송노조) 파업 직격탄을 맞았다.그는 "배관이나 전선, 창호 같은 대체 작업은 화물연대 파업 때 다 했다"며 "이제 골조작업을 못 하면 꼼짝없이 셧다운이다. 공사 기간을 맞추지 못해 지체상금(예정보다 공사가 늦어져 발주처에 내는 벌금)까지 물게 생겼다"고 말했다.
수도권 차주 중 90%가 속한 레미콘운송노동조합(운송노조)은 지난 1일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집회를 열고 집단 운송 거부에 돌입했다. 현재 회당 5만6000원인 운송비를 7만1000원으로 1만5000원(약 27%) 인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더해 차량 운행에 드는 요소수 비용 전액(월 6만원 내외)을 레미콘 제조사가 부담하고 △명절 상여금 100만원 △근로 시간 면제수당 100만원 △성과금 1인당 100만원(연 2회) 지급도 조건으로 내걸었다.
레미콘 차량은 보통 하루 3~5회 운송한다. 그는 "유류비는 레미콘 제조사가 내주니 지금도 하루 30만원 정도 벌고 있을 것"이라며 "요구를 다 들어주면 보조 수당을 포함해 월수입이 1000만원은 우습게 넘을 텐데, 마진율이 3%도 되지 않는 레미콘 업체들에 할 요구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형 건설사들의 피해가 클 전망"이라며 "레미콘을 구하지 못해 멈춰선 현장이 많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장기 공급계약을 맺지 않은 곳들은 공사가 늦어질수록 원자잿값 인상 압박을 받고, 여기에 지체상금까지 겹치면 심각한 타격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