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이 말러의 교향곡을 '헤어질 결심'에 넣은 까닭은 [김희경의 영화로운 예술]
입력
수정
지면A26
박찬욱 감독 '헤어질 결심'
영화의 화룡점정 '아다지에토'
사망자의 아내 탕웨이를 바라보는
형사 박해일의 미묘한 감정 표현
설렘·두려움 '사랑의 이중성' 그려
아름다우면서도 쓸쓸한 느낌의 곡
말러의 러브스토리 담은 곡
말러가 반한 19세 연하 쉰들러
연애편지처럼 악보 선물해 결혼
5세 딸 죽음 후 두사람도 멀어져
박찬욱 "대체할만한 곡이 없었다"
지난 5월 열린 제75회 칸국제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은 박찬욱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사진)에 나오는 장면이다. 이때 해준의 심정을 대변하는 듯한 음악이 흐른다. 오스트리아 음악가 구스타프 말러(1860~1911)의 교향곡 5번 4악장 아다지에토다. 아름답지만 왠지 모를 쓸쓸함이 느껴지는 곡이다.
말러리안 박찬욱이 그린 로맨스
지난달 29일 개봉한 이 영화는 변사 사건을 수사하는 해준이 사망자 부인인 서래를 만나면서 시작된다. 작품은 박 감독의 전작들과 사뭇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잔인하거나 폭력적인 장면 없이도 두 사람의 눈빛과 심리 묘사만으로 엄청난 감정의 동요를 일으킨다. 박 감독 특유의 미장센(화면 속 세트나 소품 등 시각적 요소의 배열)과 영화적 미학은 감탄사를 부른다. 그리고 말러의 음악은 이를 완성하는 주요 장치가 된다. 박 감독은 말러 음악을 좋아하는 마니아를 일컫는 말러리안으로 잘 알려져 있다.작품에 넣은 말러의 아다지에토는 앞서 루치노 비스콘티 감독의 영화 ‘베니스에서의 죽음’(1971)에도 나왔다. 작곡가 아센바흐(더크 보거드 분)는 죽음을 앞두고 만난 소년 타지오(비요른 안드레센 분)에게 매료된다. 피하려 할수록 상대에게 빠져드는 점, 사랑과 함께 죽음이 어우러지는 점이 ‘헤어질 결심’과 비슷하다. 박 감독은 ‘베니스에서의 죽음’에 쓴 곡을 사용한 것에 대해 “흉내 내는 느낌을 받는 게 싫어서 오랜 시간 대체할 만한 다른 음악을 찾았지만, 대안을 찾지 못했다”고 했다.
말러가 아다지에토를 만든 건 41세가 되던 해였다. 그는 심각한 장출혈로 건강이 악화됐다가 점차 회복됐고, 지휘자로 이름도 알리고 있었다. 그리고 19세 연하의 여인 알마 쉰들러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아다지에토는 그 마음을 담아 만든 작품이다. 아다지에토는 ‘매우 느리게’를 뜻하는 아다지오보다 조금 빠르게 연주하라는 뜻이다. 말러는 아무 설명도 없이 이 곡의 악보를 쉰들러에게 보냈다. 뛰어난 작곡가인 쉰들러는 의미를 알아채고 “나에게 오라”는 답장을 건넸다. 그렇게 두 사람의 사랑은 이뤄졌고 결혼에 이르렀다.
‘청록색’ 같은 사랑과 아다지에토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