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초창기 사치품이었던 시계가 인류의 삶 바꿔놔…19세기엔 영국이 영토와 표준시까지 지배하게 돼
입력
수정
지면S3
(53) 시계의 등장과 시간의 개념 (上)시계는 근대의 산물로, 등장 초기엔 대표적인 사치품으로 꼽혔다. 1797년 영국에선 모든 시계에 세금이 부과됐다. 사치품인 시계는 철저히 징세 대상이었다. 당시 영국의 세리들이 얼마나 열심히 일했는지, 조세 감정인의 신고서는 영국인 사이에 시계가 얼마나 보급돼 있었는지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의 피블스라는 조그만 마을의 조세신고서에는 ‘읍내에는 시계(괘종시계 탁상시계)가 15개, 은제 회중시계가 5개 있으며 금제 회중시계는 없다. 피블스 읍내와 시골, 교구를 통틀어 시계는 105개, 은제 회중시계는 112개, 금제 회중시계는 35개 있다’는 식으로 꼼꼼하게 기록을 남겨두었다. 세금 부과를 위한 것이다.
시청사 시계 건립을 위한 세금 걷기도
14~15세기까지만 해도 개인이 시계를 소유한다는 것은 상상도 하기 힘들었다. 기계식 시계가 매우 비싸 공공 부문에서 주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356년 볼로냐의 시청사에 공공시계를 건립하기 위해 20세 이상 모든 시민에게 18페니의 세금이 부과됐다. 1386년 프랑스 국왕은 리옹 시의회가 공공시계 건립을 위해 부담금을 징수하는 것을 허락했다. 하지만 당시 일부 리옹 시민은 세금 부담 탓에 시계 건립 계획에 격렬히 반대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하지만 시계가 인간의 삶에 본격적으로 강력한 영향을 미친 것은 19세기다. 그리고 그 본고장은 영국이었다. 19세기 후반 세계 전역을 지배했던 ‘대영제국’은 세계 각지의 영토뿐 아니라 각종 주요 표준까지 지배했다. 이와 함께 자연스럽게 영국이 세계 측량 단위의 기점 역할도 병행했다. 1884년 국제위원회는 런던 근교 그리니치를 지나는 선을 세계 경도의 기준점인 0으로 삼았다. 이때부터 각국의 지도 제작자들은 자국 수도를 세계 중심에 놓던 습관을 버리고 경도에 일련번호를 매기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동의해야 했다. 또 영국을 기점으로 하는 지리적 ‘개념’도 등장했다. 아시아 대륙은 대영제국과의 거리에 따라 근동(近東·the Near East) 중동(中東·the Middle East) 극동(極東·tha Far East)으로 구분됐다. 이 같은 영국 중심의 기준은 시간 측정에도 적용됐다. 영국 그리니치의 시간이 세계 시간을 기록하는 원점(세계표준시 GMT)이 되고, 지금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시계 보급 확대되며 시간 개념 생겨
사실 서양에선 13세기 말 ‘시계’라는 기계장치가 등장했을 때만 해도 시계는 ‘대충’ 교회의 예배시간을 알리는 데 활용됐을 따름이다. 시계를 가리키는 영어의 ‘clock’이라는 단어부터 종을 의미하는 독일어의 ‘Glocke’, 프랑스어의 ‘cloche’와 관련 있다. 교회의 주요 일과에 따라 종을 치던 습관에서 유래한 것이다.이후 시계 보급이 확대되면서 시간을 균질적으로 나누게 됐다. 낮이 긴 여름이나 낮이 짧은 겨울이나 동일한 시간대로 구분되면서 전국의 시간을 통일하고, 그 기준을 잡으려는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등장했다. 일찍이 프랑스에선 1370년 샤를 5세가 파리 시테섬에 있는 궁전에 설치된 시계를 기준으로 파리의 모든 시계를 맞추라는 포고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백년전쟁에 관한 《연대기》를 쓴 장 프루아사르는 1380년 무렵 《연대기》를 쓰던 도중에 성무일과를 기준으로 기록하던 시간을 시계에 따른 시간으로 바꿔 쓰기 시작했다. 하지만 오랫동안 정확한 시간은 측정하기도 어려웠을 뿐 아니라 필요하지도 않았다. 사람들은 자연의 주기에 따른 대단히 유동적인 시간 기준에 의거해 살아갔다.
NIE 포인트
1. 인류가 시계를 만들고자 했던 이유를 생각해보자.2. 그리니치 표준시를 기준으로 세계 각국의 시간을 확인해보자.
3. 우리나라가 극동지역으로 분류된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