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의존도 낮춘다지만…5대 제조업 핵심 원자재 90%가 중국산
입력
수정
지면A3
K제조업, 중국산 공급 끊기면 '속수무책'강판에 무늬를 넣은 착색아연도금강판은 컬러강판의 일종으로, 건축 내·외장재와 가전제품 등에 두루 활용된다. 코로나19 이후 가전업체들의 착색아연도금강판 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국내에선 동국제강과 포스코스틸리온, KG스틸 등이 컬러강판을 생산하고 있지만 가격이 비싸 저가 중국산을 원하는 수요가 적지 않다. 올해 1~5월 착색아연도금강판 전체 수입액은 1억4118만달러(약 1837억원). 이 중 99.2%가 중국에서 수입됐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값싼 중국산 제품을 원하는 수요는 널려 있다”며 “중국산 공급이 끊기면 시장의 한 축이 무너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그네슘 잉곳·스크랩·망간 등
소재·원자재 중국 의존 더 심화
반도체·철강·車 주도권 쥐여준 셈
카타르·베트남 등 수입 다변화로
요소 수입 中 비중 23%로 하락
일상화된 공급망 리스크 대비
국내생산 안하는 범용제품 늘어
수출 막으면 '생필품 파동' 우려
대체國 발굴해 거점 다변화해야
요소 빼고 中 의존도 ‘여전’
한국경제신문이 11일 산업통상자원부 품목분류체계(MTI)를 통해 지난해 중국 수입 의존도가 70%를 웃돈 상위 72개 품목의 올해 1~5월 수입 현황을 전수 조사한 결과 평균 대중(對中) 수입 의존도는 올해 81.2%에 달했다. 작년(81%)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MTI는 열 자리로 구성된 관세청 품목분류체계(HS)코드와 달리 무역통계 분석을 위해 품목명을 단순화한 통계다.소재·원자재 중에선 △알루미늄 케이블(98.9%) △마그네슘 잉곳·스크랩(94.8%) △망간제품(93.4%) △2차전지 소재·제품(91.6%) △철구조물(91.3%) △아연도금강판(90.5%) 등의 중국 의존도가 높았다. 의존도는 지난해에 비해 별 차이가 없었다. 2차전지를 비롯해 반도체,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 등 국내 5대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원자재 중 상당수가 중국산이라는 뜻이다.반면 지난해 10월 중국 정부가 수출을 중단하면서 요소수 파동을 초래했던 중국산 요소 수입 비중은 작년 66.6%에서 올해 23.6%로 대폭 하락했다. 카타르(28.8%), 인도네시아(12.5%), 베트남(12.4%) 등으로 수입처를 다변화한 데 따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원자재와 1차 가공 소재를 들여와 국내에서 완제품을 제조하는 현 공급망 구조상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이 보유하고 있는 원자재가 워낙 다양한 데다 거리가 가까워 운송비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문제는 작년 말 요소수 파동처럼 중국에서 소재 및 원자재 공급이 중단될 때다. 김봉만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본부장은 “한국 경제는 중국 등에서 저렴하게 원자재를 들여와 제품을 만들어 수출하는 글로벌 밸류체인을 통해 성장해왔다”며 “요소수 파동처럼 공급망 리스크가 언제든지 현실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도 지난달 28일 기자단 브리핑에서 “중국의 대안 시장이 필요하고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범용제품 시장도 中이 장악
경제계는 국내 제조업 공급망이 값싼 중국 범용제품에 크게 의존하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실제로 보온용기(93.5%), 위생용기(92.7%), 우산·양산(91.5%), 책상(90.6%)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활필수품도 중국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이들 제품의 특징은 인건비를 비롯한 비용 등의 문제로 국내에선 더 이상 대량 생산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 보온용기 제품 수출액은 수입액의 2.2%에 불과하다. 위생용기(2.8%), 우산·양산(1.1%), 책상(5.2%)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국내 기업이 요소수처럼 단기간에 생산시설을 증설할 수 없는 상황에서 중국산 범용제품 수입이 끊기면 공급망이 큰 타격을 받아 ‘생활필수품 대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소재와 부품은 대부분 원가 부담 때문에 국내에서 생산을 기피하는 것들”이라며 “중국산에 의존하면서 중국이 공급망의 주도권을 쥐게 됐다”고 말했다.
정부도 지난해 말 요소수 파동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주요 핵심 품목을 대상으로 공급망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업체들이 높은 중국 의존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중국 업체들의 잇단 ‘갑질’에 시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지역 내 대체 국가를 발굴해 공급망 거점 다변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설명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