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수익 내려면 ○○○에 단기 투자"…전문가의 조언
입력
수정
추가 상승 가능성
"헬스케어-IT 주목해야"

11일 오후 코스피지수는 0.27% 하락한 2344.21에 거래 중이다. 지난 6일 2276.63까지 밀려 연저점을 경신한 후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7일 국내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2분기 잠정매출이 77조원으로 비교적 선방했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안도 랠리를 이어가는 모양새다. 미국 증시도 S&P500 지수가 최근 한 달(6월13~7월8일) 사이 3.9% 오르며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6월 미국 실업률이 3.6%로 5월과 같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고용지표가 비교적 양호했고, 물가상승이 정점에 도달했다는 인식이 퍼지면서다.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1970년 이후 미국 증시에서는 총 7번의 약세장과 16차례의 베어마켓 랠리가 존재했다. 16번의 베어마켓 랠리에서 미국 S&P500 지수는 평균 1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S&P500 지수가 지난달 16일 3666.77로 연중 저점을 찍고 이후 6.3% 반등한 것을 고려하면, 6%가량 더 상승할 여력이 남은 셈이다. 미국 증시가 추가 상승한다면 한국 증시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수익률을 고려하면 낙폭과대주·성장주 위주로 단기투자를 고려하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대표적인 업종으로는 헬스케어와 IT업종이 꼽혔다. 코스피200 헬스케어 지수는 지난달 20일 1717.45로 연중 저점을 찍은 뒤 8일 1929.72까지 반등해 10.52% 올랐다. 반도체·IT 기업을 담은 코스피200 정보기술 지수도 지난 1일 2663.8로 연중 저점을 기록한 후 8일 2788.3으로 4.6% 회복했다.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시중금리가 추가적으로 큰 폭으로 상승하면 베어마켓 랠리도 종료될 것”이라며 “그 전까지는 지수 상승을 성장주들이 이끌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