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금리인상…2금융권, 건전성 악화 불가피"

한국기업평가 전망 보고서

조달금리 뛰고 대출금리 하락
취약차주 늘어 연체율 급등
급격한 금리 인상과 통화 긴축, 금융 규제 강화 등이 맞물리며 올 하반기 이후 국내 금융업권의 실적과 신용등급 하향세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잇달아 나왔다. 금리 인상의 대표 수혜주로 꼽혔던 은행업도 수익성 개선 효과보다 자산 건전성 악화 우려가 더 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기업신용평가 전문기관인 한국기업평가는 최근 ‘2022년 금융부문 산업전망 업데이트’ 보고서를 내고 “올해 들어 가파른 시장금리 상승, 긴축 통화정책, 경기 둔화 등으로 금융부문 사업 환경이 비우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최근 2년간 상향 기조를 보여온 금융산업의 신용등급 방향성에도 점진적인 변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저축은행·신용카드·캐피털사 등 2금융권은 당장 올 하반기부터 실적에 타격이 예상된다. 이들 업권의 조달금리는 급등하는 반면 대출금리는 올리기 어려워 수익성이 하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은행보다 이용자 신용도가 낮다 보니 금리 인상을 버티지 못하는 차주들이 연체에 빠지면서 자산 건전성이 악화하는 시기도 더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금리 상승 속도가 빠르고 상승폭이 크다는 점이 금융업권 전체의 위험 요소”라고 경고했다. 금리 상승이 단기간에 빠르게 나타나면 수익성이 개선되는 것보다 자산 건전성이 악화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은행도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보고서는 “예대금리차 공시 확대 추진 등으로 은행 순이자마진(NIM) 확대 폭이 예상보다 감소할 것”이라며 “9월 말 만기 연장·상환유예 조치 종료와 가파른 금리 상승에 따라 대손비용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은행업의 등급 전망을 하향했다.

한국신용평가도 최근 ‘금융부문: 자산건전성·유동성 저하 리스크에 집중할 때’ 보고서를 내고 “2분기 이후 금리 인상이 가속화하면서 실적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코로나19 민감 업종의 대출 비중이 커진 은행은 자산 건전성 악화 위험에, 수신 기반이 취약하고 자금 조달 어려움이 심해진 카드·캐피털 업종은 유동성 리스크에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빈난새/박진우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