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10명 중 9명 "소액주주라도 기업 의사결정에 영향 미칠 수 있어야"
입력
수정
"금융 교육 책임은 금융사와 학교에 있어"투자자 10명 중 9명은 소액 주주라 해도 기업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13일 나왔다. 주주 의식이 그만큼 강해졌다는 의미다. 금융 교육의 책임을 묻는 질문에는 '금융 서비스 기관'과 '학교 및 교육기관'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자가 다수 였다.
슈로더투자신탁운용이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한국을 포함 아시아·유럽·중남미 지역 2만 3000명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 주주가 기업의 의사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할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89%였다. 이 중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고, 역량도 가지고 있다는 응답이 60%, 영향력을 행사해야하지만 역량이 없다는 응답은 29% 였다.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에 불과했다. '모른다'는 4%였다.또 투자 지식이 많을수록 자신이 주주로서 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역량이 있다고 여겼다. 자신의 투자 지식이 '전문가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의 86%가 주주로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역량이 있다고 느낀다고 대답했다.
반면 자신의 투자 지식이 '입문 수준'이라고 여기는 응답자들 중에서는 28%만이 자신이 주주로서 기업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금융 교육에 대해 책임져야 하는 주체를 묻는 질문에 상당수의 응답자들이 '금융 서비스 기관'과 '학교 및 교육기관'을 꼽았다.
금융 서비스 기관이 금융 교육에 책임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51%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상품에 대한 접근이 쉬워진 만큼 상품을 제공하는 투자 플랫폼들의 책임도 그만큼 크게 느끼고 있다는 의미다.
학교에 책임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44%가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정부의 책임이 있다는 응답도 35%였다. 투자자 자신에게 책임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24%의 응답자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가족'(29%), '고용주'(19%) 등에 대해서도 '그렇다'고 답한 비율이 낮았다.
기업과 소통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를 묻는 질문에는 탄소중립, 탈탄소화 등 기후 문제를 꼽은 응답자가 32%였다. 오염 문제 등 '환경'을 꼽은 응답자는 23%였다. 기업의 문화나 안전 등 '인적자본관리'는 19%, '기업내 다양성'은 10%였다 슈로더투신운용 관계자는 "투자 기회가 많아지면서 소액 투자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투자 결과와 성과에 대한 인식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환경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투자의 가치에 대한 투자자의 이해를 높이고, 지속가능 투자를 통한 더 나은 성과 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