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 후 소상공인 금융지원 최소 24조5천억원"
입력
수정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근까지 소상공인에 공급한 금융지원액이 최소 24조5천억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런 금융지원은 급전이 필요한 소상공인의 수요를 맞출 수는 있었지만, 차주들이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지는 등 상황을 고려해 향후에는 선별 지원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17일 이수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관련 소상공인 금융지원정책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국내에서 코로나19 발발 이후 정부가 집행한 1·2차 소상공인 금융지원, 중·저신용자 특례보증, 브릿지보증, 희망대출플러스 등 보편적인 금융지원 정책을 분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했던 2020년 1월 이후 정부가 소상공인을 위해 공급한 금융지원액은 최소 24조5천억원이다. 항목별로 보면, 2020년 2월 7일부터 집행된 1·2차 소상공인 금융지원 실적은 22조6천억원으로 추산됐다.
1차 금융지원에선 목표 금액(16조4천억원)의 90%에 달하는 14조8천억원, 2차에선 목표금액의 100%인 7조원이 공급됐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초 시행된 집합제한업종 임차 소상공인에 대한 특별지원은 8천억원이 집행됐다. 중·저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은 6천457억원(공급목표 대비 약 65%), 브릿지보증은 1천984억원(33%), 희망플러스 특례보증은 1조552억원(28%)이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고신용자를 위한 희망플러스 신용대출과 저신용자를 위한 희망 대출의 실적을 제외한 수치"라면서 "여기에는 대출 만기 연장이나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 등 금융지원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덕분에 코로나19 확산으로 매출이 부진했음에도 지난 3월 말 기준 자영업자 대출은 2019년 말 대비 40%가량 증가하며 소상공인의 긴급한 자금 수요를 충족하는 데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이런 정책이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회생이 어려움에도 폐업만 지연시키고, 신용도를 낮추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상환능력이 없는 차주를 지속해서 지원하면 빚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불어 결국 채무 불이행자가 될 수 있다"면서 "앞으로는 소상공인의 채무 상환 능력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해 선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17일 이수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관련 소상공인 금융지원정책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국내에서 코로나19 발발 이후 정부가 집행한 1·2차 소상공인 금융지원, 중·저신용자 특례보증, 브릿지보증, 희망대출플러스 등 보편적인 금융지원 정책을 분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했던 2020년 1월 이후 정부가 소상공인을 위해 공급한 금융지원액은 최소 24조5천억원이다. 항목별로 보면, 2020년 2월 7일부터 집행된 1·2차 소상공인 금융지원 실적은 22조6천억원으로 추산됐다.
1차 금융지원에선 목표 금액(16조4천억원)의 90%에 달하는 14조8천억원, 2차에선 목표금액의 100%인 7조원이 공급됐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초 시행된 집합제한업종 임차 소상공인에 대한 특별지원은 8천억원이 집행됐다. 중·저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은 6천457억원(공급목표 대비 약 65%), 브릿지보증은 1천984억원(33%), 희망플러스 특례보증은 1조552억원(28%)이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고신용자를 위한 희망플러스 신용대출과 저신용자를 위한 희망 대출의 실적을 제외한 수치"라면서 "여기에는 대출 만기 연장이나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 등 금융지원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덕분에 코로나19 확산으로 매출이 부진했음에도 지난 3월 말 기준 자영업자 대출은 2019년 말 대비 40%가량 증가하며 소상공인의 긴급한 자금 수요를 충족하는 데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이런 정책이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회생이 어려움에도 폐업만 지연시키고, 신용도를 낮추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상환능력이 없는 차주를 지속해서 지원하면 빚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불어 결국 채무 불이행자가 될 수 있다"면서 "앞으로는 소상공인의 채무 상환 능력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해 선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