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값 뛰자 지역축제 필수 인프라 푸드트럭도 타격

축제 등을 통해 관광객을 유입시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해야 할 지방자치단체에 푸드트럭은 꼭 필요한 시설 중 하나다. 그런데 푸드트럭 사업자들이 인플레이션의 ‘직격탄’을 맞아 휘청거리면서 지자체도 난감한 처지에 빠졌다.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액화석유가스(LPG) 가격은 물론이고, 각종 식자재 가격이 올라 운영을 포기하는 자영업자들이 크게 늘었다.

17일 강원도 춘천시에 따르면 시가 지난달 말 개최한 '2022 춘천코리아오픈국제태권도대회' 행사장의 푸드트럭 존(5대)에는 2대의 푸드트럭만 자리했다. 대회 조직위원회가 푸드트럭 존에 입점할 사업자를 두차례 공개 모집했지만 푸드트럭 사업자 수가 줄어 신청이 2건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춘천시가 푸드트럭 영업을 허가한 것은 단 1건에 불과하다.부산 등 대도시라고 사정이 다르지 않다. 부산시의 경우 시의 허가를 받아 운영하는 푸드트럭이 2019년 25대에서 지금은 8대로 쪼그라들었다.

이처럼 푸드트럭 운영이 위축된 이유로는 인플레로 인한 비용 증가가 첫손에 꼽힌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푸드트럭에서 요리할 때 쓰는 LPG(프로판)의 서울 지역 이달 평균 가격은 ㎏당 2602.4원으로, 전년 동월(2110.07원) 대비 23.3% 올랐다. 지방에서 분식 푸드트럭을 운영하는 A씨는 “분식의 경우 불을 오래 사용해야 해서 20㎏짜리 LPG 통을 3일이면 모두 사용한다”며 “작년에는 4만원 중반에 LPG 통을 충전했다면 올해는 5만원 초중반은 줘야 해 부담이 심하다”고 토로했다.

준비하고 있던 창업을 미루는 사례도 많다. 사무직으로 일하고 있는 김모 씨(37)는 주말을 이용해 다코야키 푸드트럭 사업을 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었지만, 예상보다 늘어난 비용으로 창업 포기를 고민 중이다. 김 씨는 “한 지역에 자리를 잡기보다는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음식을 팔려고 했다”며 “기름값이 많이 나올 것 같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럭 개조 비용 역시 스테인리스 등 자잿값이 비싸져 예상했던 것보다 2000만원 정도 추가 지출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올인’ 중인 지자체 담당 공무원들은 예상 밖 복병에 난감해하고 있다. 지역 문화행사 개최를 담당하는 한 지자체 공무원은 “푸드트럭은 지역 축제의 분위기를 띄우고 방문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필수 시설”이라며 “인플레로 푸드트럭 시장이 침체해 참여를 희망하는 업자들을 찾기 힘들어 난감하다”고 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