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 차세대 배터리 제조기술 민간 이전
입력
수정
한국전기연구원(이하 전기연구원)은 고품질 전고체전지 제조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해 상용화를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전기연구원은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개발한 '저온 소결형 고체 전해질 분말 제조 및 시트화 기술'을 2차 전지 장비 전문기업 '하나기술'에 이전했다. 하 박사팀이 개발한 기술은 전고체전지 상용화에 한 발 더 다가간 기술이다.
전고체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배터리다.
불연성인 고체를 사용해 화재 위험이 없고, 온도변화나 외부 충격에도 강하다. 전고체전지는 고체 전해질 생산 못지않게 전극이나 멤브레인(분리막)을 만드는 단계에서 다른 물질과 계면 접촉이 중요하다.
그러나 바인더 등 전지 일부 소재는 고온에 약하다.
하윤철 박사팀은 저온에서 양질의 고체 전해질을 손상 없이 제조해 멤브레인 등에 최적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즉, 200도 이하 낮은 결정화 온도에서 기존 방식(500도 이상 열처리)의 결과물과 대등한 수준의 이온 전도성을 가지는 고체 전해질 제조가 가능해졌다.
하나기술은 전기연구원이 이전한 기술을 2023년 말까지 양산화 가능한 기술로 완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연합뉴스
전기연구원은 차세대전지연구센터 하윤철 박사팀이 개발한 '저온 소결형 고체 전해질 분말 제조 및 시트화 기술'을 2차 전지 장비 전문기업 '하나기술'에 이전했다. 하 박사팀이 개발한 기술은 전고체전지 상용화에 한 발 더 다가간 기술이다.
전고체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배터리다.
불연성인 고체를 사용해 화재 위험이 없고, 온도변화나 외부 충격에도 강하다. 전고체전지는 고체 전해질 생산 못지않게 전극이나 멤브레인(분리막)을 만드는 단계에서 다른 물질과 계면 접촉이 중요하다.
그러나 바인더 등 전지 일부 소재는 고온에 약하다.
하윤철 박사팀은 저온에서 양질의 고체 전해질을 손상 없이 제조해 멤브레인 등에 최적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즉, 200도 이하 낮은 결정화 온도에서 기존 방식(500도 이상 열처리)의 결과물과 대등한 수준의 이온 전도성을 가지는 고체 전해질 제조가 가능해졌다.
하나기술은 전기연구원이 이전한 기술을 2023년 말까지 양산화 가능한 기술로 완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