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兆 시장 놓칠 수 없다"…식품사 '비건'에 진심이 되다
입력
수정
지면A2
성장 정체에 빠진 식품업계…식물성 식품 투자에 사활유례를 찾기 어려운 인구 감소, 여기에 더해진 인플레이션으로 국내 식품업계는 난관에 봉착해 있다. 만두, 라면 등 세계인들에게 인기를 끄는 ‘K푸드’를 보유한 식품사들이야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대다수 기업은 5% 미만의 영업이익률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해 허덕이는 실정이다.
CJ제일제당 "미래 신수종 사업
인천에 식물성 식품 공장 구축
2025년 2000억 매출 기대"
이런 식품업계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최근 투자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게 ‘식물성 식품(plant based foods)’이다. 식물성 식품이란 고기, 생선, 우유 등 동물에서 유래한 모든 식품을 식물성으로 대체한 것으로, 채식주의를 총칭하는 ‘비건’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식품업체들은 미국 유럽 등에서 ‘대세’로 뜬 식물성 식품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는 신수종 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J, 식물성 식품 ‘출사표’
CJ제일제당은 18일 서울 필동 CJ인재원에서 연구개발(R&D) 간담회를 열고 “식물성 식품을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키우겠다”고 발표했다. CJ제일제당은 식물성 식품 사업에서 2025년까지 2000억원의 매출을 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 매출의 70% 이상은 해외에서 거둬들이겠다는 계획이다.이를 위해 인천 2공장에 연 1000t 규모의 자체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향후 글로벌 사업 확대에 맞춰 추가 증설을 검토키로 했다. 윤효정 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상무는 “식물성 식품 기술을 가진 기업이 미래 식품산업에서 ‘게임체인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CJ제일제당이 기존 육류 원료 대신 식물성 단백질로 대체한 제품은 만두, 떡갈비, 햄버그스테이크, 주먹밥 등이다. 고기가 없어도 고기의 식감과 육즙, 맛을 구현했다는 게 CJ의 설명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국내 대형 식품업체가 식물성 식품 시장 공략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비건 시장 열리나
국내 비건 시장은 선진국에 비해 한참 뒤처져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미국 식물성 식품 시장 규모는 2조4600억원이지만, 한국은 94억원에 불과하다. 8770억원 수준인 중국에도 못 미친다.동원F&B가 2019년 독점 판매 계약을 맺은 미국 대체육 브랜드 비욘드미트를 국내에 들여왔지만, 관련 시장은 좀처럼 성장하지 않았다. 신세계푸드, 농심, 롯데, 대상, SPC 등 대다수 식품업체는 2016~2019년 대체육 R&D에 들어가 최근에서야 잇따라 결실을 내놓고 있다.대체육보다 한발 앞서 확대된 건 대체유(乳) 시장이다. 오트(귀리)밀크, 아몬드유 등 우유를 대신하는 대체유 시장은 국내에서 5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는 게 업계 추산이다. 매일유업은 해외 브랜드가 장악하고 있는 오트밀크 시장에 지난해 뛰어들었다. 스타벅스에서는 지난해 10월 이후 우유 대신 오트밀크를 사용한 음료 판매가 150만 잔을 돌파했다.
“제도적 기준 필요”
비건 시장이 국내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식물성 식품이 한국인의 유별난 ‘고기 사랑’ 벽을 넘으려면 기존 육류의 맛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가격까지 낮춰야 한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식물성 식품 제조에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도 대부분 식품업체는 적자를 감수하면서 비슷한 종류의 기존 제품에 가격을 맞추고 있다”고 했다.기업들의 사업 확장 움직임에 맞춰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에선 아직 비건 식품의 법적 정의와 기준이 없는 상태다. 한 식품업체 최고경영자(CEO)는 “시장이 커지고 있지만 제조·유통·인증 절차 등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 없어 사업 준비 단계부터 혼란을 겪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하수정 기자 agatha7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