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의 대만, 반도체 학과는 '1년에 두번' 신입생 뽑아
입력
수정
지면A5
해외는 이렇게 양성한다대만 중국 등 반도체산업 경쟁 국가들은 한국보다 3~4년 앞서 반도체 인력 양성에 눈을 돌렸다. 반도체 관련 학과의 정원 규제를 풀어주고 대규모 재정 지원을 투입하는 건 물론이고, 최근 한국 대학 현장에서 가장 시급하다고 호소하는 교수 확보 문제도 확실한 임금 차등으로 해결하고 있다.대만에서는 반도체 관련 학과의 경우 1년에 두 번 신입생을 뽑는 특혜를 누리고 있다. 지난해 5월 반도체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대학 규제를 완화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생긴 변화다. 매년 반도체 인력 1만 명을 배출하겠다는 목표로, 주요 대학에서는 학과가 아닌 단과대 단위로 반도체를 가르친다.중국도 2019년부터 국가 차원의 반도체 산업·교육 통합 혁신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 플랫폼을 통해 3년간 베이징대, 칭화대, 푸단대, 샤먼대 등 4개 대학에 각 3억~4억7000만위안(약 582억~913억원)을 지원했다. 이듬해에는 정부 차원에서 반도체 학과를 2급에서 1급 학과로 격상시키며 지원을 대폭 강화할 기반도 마련했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해에는 베이징대, 칭화대 등 14개 대학이 반도체 대학원을 신설했다.
지난 1월부터 미국은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의 해외 유학생과 전문가가 미국에 더 오래, 쉽게 머물 수 있도록 비자 정책을 바꾸고 있다. 기존 학생 비자는 전공에 상관없이 졸업 후 1년간 미국에서 취업할 수 있었지만, STEM 분야에 한해서는 이 기간을 3년으로 늘린다.
우수한 교수를 확보하기 위해 해외 주요국은 교수 간 임금에 확실한 차등을 두고 있다. 미국, 홍콩은 학과와 연구 실적에 따라 교수별 연봉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홍콩과기대 경제학과는 정교수 중 최저 연봉이 1억5000만원, 최고 연봉이 3억원 수준이다.반면 한국은 교수 연봉이 낮고, 연차에 따라 임금이 오르는 연공제다. 서울대의 경우 지난해 기준 조교수 평균 연봉이 8448만원, 부교수 9962만원, 교수 1억2173만원 수준에 그친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