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개발 전담조직 신설…임직원의 13%가 R&D 인력
입력
수정
지면C3
Cover Story에스에프에이(SFA)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스마트팩토리 확산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2017년 기존 사내 연구개발(R&D) 조직을 대대적으로 확대 개편했다. SFA 관계자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의 결과로 확보한 최첨단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고도성장이 예상되는 각 산업군의 제조 장비에 적극적으로 접목했다”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사업 중심에서 2차전지·반도체·유통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했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 대비 조직 개편
작년 연구개발에 585억원 투자
네오-AI 등 다양한 솔루션 개발
2017년 조직 개편의 핵심은 스마트팩토리 요소기술을 개발하는 전담 조직 신설과 스마트팩토리 요소기술의 원활한 사업화를 위해 사업부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이었다. SFA의 연구개발 조직은 스마트 개발조직과 사업화 개발조직으로 구성됐다. 스마트 개발조직은 산업 분야별 핵심 제조 장비 개발 및 스마트팩토리 기술 적용 전담 조직인 R&D 1센터와 스마트팩토리 요소기술 개발을 맡은 R&D 2센터로 구성됐다. 사업화 개발조직은 스마트 개발조직의 성과를 고객 수요에 맞춰 사업화하는 부서다. 물류개발팀, 공정장비개발팀, 물류연구소로 구성됐다.
업계 최고 수준의 R&D 인력을 확보하는 데도 집중했다. 지난달 기준 SFA의 R&D 인력은 84명으로 전체 임직원의 13%를 차지했다. 이중 석사급 이상 인력은 45명이다. 전체 R&D 인력의 근속연수는 평균 7.4년일 정도로 안정적인 인력을 확보했다.
SFA는 2017년 사상 최대 매출액인 1조3139억원(별도 기준)을 기록한 이후 디스플레이 산업의 설비 투자가 둔화하면서 매출이 지속해서 감소했다. 하지만 신성장 동력인 스마트팩토리 역량 강화를 위해 연간 300억원 이상을 꾸준히 R&D에 투자해왔다. 지난해 투자액은 585억원으로 전년(383억원) 대비 크게 늘렸다.R&D 성과는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SFA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스마트솔루션인 네오-AI, 네오-플랫폼이 대표적인 사례다. 네오-AI는 검사 측정 장비, 이미지·영상 처리 등에 적용되는 ‘네오 이미징’을 비롯해 무인운반차의 경로 최적화 및 회피·우회 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AI) 솔루션인 ‘네오루트’, 최적의 제품 적재 시뮬레이션 기술인 ‘네오 큐브’ 등의 솔루션을 보유했다.
네오 플랫폼은 제조 장비, 운영·관리·스마트시스템 등에서 생성되는 대량의 정보와 원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자체 판단해 제조 현장의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 솔루션이다. 다양한 센서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등에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수집·분석·처리하는 엣지 컴퓨팅을 구현한 ‘네오 엣지’, 제조 장비나 시스템의 고장 시점을 분석·예측하는 ‘네오 PdM(예지보전)’, 인지하기 어려운 미세한 데이터를 감지하고 분석해 보정 등에 활용하는 ‘네오 센스’ 등의 솔루션으로 구성됐다.
이 회사는 스마트팩토리 응용 기술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은 2차전지 분야의 AI 외관검사기 및 ‘인-라인’ 3차원(3D)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기 등이다. 유통 분야에서는 AI 기반의 제품 자동 분류 시스템, 로봇 피킹(Picking) 시스템, 제품을 자동으로 팔레트에 적재하는 ‘믹스드 팔레타이저’, 자율주행 무인운반 로봇(AGV) 등을 선보였다.반도체 분야에서는 네오-AI와 네오-플랫폼을 동시에 적용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제조라인 무중단 구현이 가능한 지능형 웨이퍼 이송시스템(OHT) 등을 개발했다. 디스플레이 분야의 품질 예지보전 솔루션이 적용된 합착기(라미네이터)도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SFA는 자사 장비와 스마트솔루션을 결합해 스마트팩토리의 궁극적 지향점인 생산성 극대화, 품질 향상 및 무중단 라인 구현 등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사 수익성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 업체는 스마트기술 고도화 및 신상품 발표 확대를 통해 회사가 보유한 장비 전체를 스마트화하는 한편 해외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선두 기업으로 성장하는 게 목표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