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움직인 ECB… 11년 만에 '빅스텝' 나섰다

유럽중앙은행(ECB)이 21일(현지시간) 열린 통화정책회의에서 '빅스텝(한번에 0.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해 마이너스(-) 금리 시대에 종지부를 찍었다. 당초 ECB는 "7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고, 9월에도 연달아 올리겠다"고 예고했었다.

금리 인상폭을 확대한 것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에 비해 8.6%나 뛰어올랐기 때문이다. 물가가 8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하며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자 '빅스텝'으로 급선회한 것으로 분석된다.

○고물가에…마이너스 금리 실험 끝내

ECB는 이날 "기준금리와 수신금리, 한계대출금리 등 3개 정책금리를 각각 0.5%포인트씩 올린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기준금리는 연 0.5%로 인상된다. 수신금리와 한계대출금리도 각각 연 0%와 연 0.75%로 오른다. ECB는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 위험이 더욱 높아졌다는 평가에 기초해 내린 결정"이라며 "향후 금리 인상 조치가 더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ECB는 2011년 7월 마지막으로 금리를 올린 뒤 조금씩 금리를 낮춰 왔다. 시중 유동성을 늘려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한 조치였다. 2014년 6월엔 수신금리에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사상 처음 도입했다. 시중은행들로 하여금 ECB에 돈을 예치하려면 추가비용을 내게 했다는 의미다. 2016년 3월부터는 기준금리를 '제로(0) 금리'로 내려 6년 넘게 유지해 왔다. 이날 11년 만의 금리 인상을 통해 주요국 중앙은행으로선 이례적으로 도입한 '마이너스 금리 실험'을 8년 만에 끝낸 것이다.

이날 정책금리를 한번에 0.5%포인트나 올린 배경에는 가파른 물가 상승세와 강(强)달러로 인한 유로화 약세가 자리잡고 있다. 네덜란드은행 ING의 한 거시경제 전문가는 "지난달 유로존 19개국 중 무려 9개국이나 두 자릿수 물가상승률을 찍었다"며 "ECB 대응이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과의 금리차를 축소시키기 위해서는 ECB도 금리 인상폭을 키워야 하는 상황이었다. 미국 중앙은행(Fed)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지난 3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5%포인트 올렸다. 오는 27일에도 0.75%포인트 인상이 유력하다.

○경기침체, 남유럽 부채 위기 어쩌나

ECB는 다른 나라 중앙은행들보다 더 복잡한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유럽은 올해 들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직격탄을 고스란히 떠앉았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유럽에 에너지 공급 중단 카드로 협박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경기침체 공포도 확산되고 있어 경제 충격과 인플레이션 대응을 놓고 저울질해야 하는 ECB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전망됐었다.

유럽 싱크탱크 브뤼겔의 마리아 데메르치스 부소장은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으면 ECB는 금리를 계속 올려야 한다"면서도 "에너지 위기 때문에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다른 나라보다 더 높은 게 문제"라고 설명했다. ECB 통화정책위원회 구성원 중 한 명인 올리 렌 핀란드 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한 연설에서 "9월 이후 금리 인상 폭은 유럽 경제 상황에 달릴 것"이라고 말했다.

유로존 회원국 국채 간 금리격차(스프레드)를 줄여야 하는 숙제도 남아 있다. 이날 독일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ECB의 빅스텝 발표 직후 0.1%포인트 뛰어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와의 금리격차는 2.3%포인트를 기록했다. 격차가 확대될수록 이탈리아 정부의 이자 등 상환 부담은 커진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이탈리아 등 남유럽 국가들의 국채 금리가 연일 급등(국채 가격 하락)하고 있어 유로존 부채 위기가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라고 분석했다. ECB는 2011년 7월 마지막으로 금리를 인상했지만 유럽 내 부채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4개월 만에 다시 금리를 내린 바 있다. ECB는 이날 남유럽 국가들의 채권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새로운 채권 매입 프로그램(TPI)도 공개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