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기대수명 83.5세로 증가…외래진료 1년에 14.7번 간다

기대수명 10년 전보다 3.3년↑…OECD 평균은 80.5세
흡연 음주 줄고 과체중 비만 늘어…年 19일 입원, 일본 다음 최장
임상의사수 꼴등에서 2번째로 적어…자살사망률 1위 '오명'
한국 국민의 기대 수명은 83.5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3년 더 길어 회원국 중 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는 연간 14.7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지만, 보건의료 인력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이달 초 발표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2'을 토대로 우리나라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6일 공표했다.
◇ 韓 기대수명 10년전보다 3.3년 길어져…흡연·음주는 줄고 비만은 늘고
통계에 따르면 한국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CED 국가 평균인 80.5년보다 3년 길고, 기대 수명이 가장 긴 일본(84.7%)과는 1.2년의 차이를 보였다.10년 전과 비교하면 3.3년 증가한 수준이다.

기대수명은 해당연도에 태어난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를 뜻한다.

전체 사망자 가운데 조기 검진과 적절한 치료 등으로 죽음을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었던 사람의 비율인 '회피가능사망률'은 비교 가능한 최신 자료인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147.0명으로 OECD 평균인 215.2명보다 낮았다.국내 인구 10만명당 회피가능사망률은 2009년 237.0명, 2014년 185.0명, 2019년 147.0명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5% 감소하는 긍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자살 사망률은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25.4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2009년 35.3명에서 10년새 약 10명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OECD 평균(11.1명)의 두배를 훌쩍 넘는 수준이다.
영아 사망률은 2020년 출생아 1천명당 2.5명으로 평균(4.1명)보다 1.6명 낮았다.

건강 위험 요인인 흡연율과 주류 소비량은 10년간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과체중·비만 인구는 늘었다.

2020년 국내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비율은 15.9%로 OECD 평균(16.0%)과 비슷했다.

흡연율은 2010년 22.9%에서 2015년 17.3%, 2020년 15.9%로 줄어왔다.

주류 소비량은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연간 7.9L로, 평균(8.4L)에 미치지 수준을 보이며 최근 10년간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15세 이상 인구 중 과체중·비만 비율은 2010년 30.2%, 2015년 33.4%, 2020년 37.8%로 증가했다.

과체중·비만 인구는 미국, 멕시코, 영국 등이 6∼70%대로 OCED 평균은 58.7%다.

한국은 일본(27.2%)에 이어 두번째로 양호한 수준이다.
◇ "병원 제일 많이 가는 한국인" 외래 1년에 14.7번…입원은 평균 19일
국민 1인당 의사에게 외래진료를 받은 횟수는 연간 14.7회였다.

OECD 국가 중 가장 많고, OECD 평균(5.9회)의 2.5배 높은 수준이다.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재원일수는 19.1일로 평균(8.3일)보다 열흘 이상 길고, 회원국 중에서는 일본(28.3일) 다음이었다.

최근 10년간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재원일수는 연평균 1.9% 증가했으나, 급성기 치료 환자의 재원일수는 연평균 2.5% 감소해 7.8일이었다.

MRI 이용량은 인구 1천명당 71.7건으로 평균(74.2건)보다 적었고, CT는 250.0건으로 평균(147.1건)보다 많았다.

CT와 MRI 이용률은 각각 연평균 8.3%, 14.6%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보건의료 부문 서비스·재화에 대한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인 경상의료비는 2020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8.4%로 평균(9.7%)에 비해 낮았다.

1인당 경상 의료비는 구매력평가환율(PPP) 기준 3천582달러로 10년간 연평균 6.9%씩 증가했다.

가계가 부담하는 의료비(가계직접부담) 비중은 2010년 34.0%, 2015년 33.7%, 2020년 37.8%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760.9달러로 평균(547.2달러)보다 높았다.
◇ 의료 수요 대비 의료진 수는 적어…의사 소득은 가장 높은 편
2020년 국내 임상의사 수는 인구 1천명당 2.5명으로 OECD 국가 중 멕시코(2.4명)에 이어 두 번째로 적었다.

평균(3.7)보다는 1.3명 적다.

의학계열 졸업자 역시 인구 10만명당 7.2명으로 일본과 이스라엘(각 6.9명) 다음으로 적었다.

전문의 중 봉직의 임금 소득은 연간 19만5천463 US달러, 개원의는 연간 30만3천 달러로 봉직의·개원의 모두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간호 인력은 인구 1천명당 8.4명으로 평균(9.7명)보다 1.3명 적었다.

특히 간호사는 4.4명으로 평균(8.0명)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간호대학 졸업자는 인구 10만명당 42.4명으로 평균(31.4명)보다 많았다.

간호사의 임금 소득은 연간 5만2천766 달러로 OECD 평균(5만977달러)에 비해 다소 높았다.
병원 병상 수는 인구 1천명당 12.7개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다.

OECD 평균(4.3개)의 약 2.9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의료 장비는 자기공명영상(MRI)가 인구 100만명당 34.2대, 컴퓨터단층촬영(CT)은 40.6대로 OECD 평균(29.1대)보다 많았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은 재가 7.4%, 시설 2.6%로 평균(재가 10.4%, 시설 3.6%)보다 낮았다.

급속한 고령화로 장기요양 수급자가 늘면서 GDP에서 장기요양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0.5%에서 2020년 1.2%로 증가했다.

장기요양 돌봄종사자 수는 65세 이상 인구 100명당 4.5명으로 평균(6.0명)보다 1.5명 적었다.

65세 인구 1천명당 요양병원 병상과 장기요양 침상 수의 합은 58.9개로 집계됐다.

OECD 보건통계는 각국의 보건의료 수준을 평가해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매년 경제·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통계 항목도 달라진다.복지부는 "앞으로도 OECD와 협력을 통해 국제비교가 가능한 보건의료 통계 생산을 늘리고 국민과 다양한 정책 영역에서 적극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