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인 이상 사업체 55.5% 호봉제…규모 클수록 비율 높아

고용노동부, 전문가 협의체 '임금직무혁신포럼' 개최
국내 100인 이상 사업체의 절반 이상이 호봉제를 활용한 임금체계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28일 오후 2시 서울 달개비에서 제2차 임금직무혁신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달부터 매월 1회 열리는 이 포럼은 임금 정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전문가 협의체다.

이날 내용이 공개된 지난달 제1차 포럼에서는 오계택 한국노동연구원 임금직무혁신센터장이 '우리나라 임금체계의 현황 및 실태'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체계는 과거 고성장 시기 장기근속을 전제로 설계된 호봉제가 여전히 지배적으로, 강한 연공(여러 해 근무한 공로)성이 특징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100인 이상 사업체 가운데 호봉제를 활용하고 있는 사업체 비율은 55.5%다.

특히 대규모·유노조 사업장과 금융·공공 부문에서 호봉제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체 규모별 호봉제 비율을 살펴보면 100인 미만 13.4%, 100∼299인 54.3%, 300인 이상 60.1%, 1천인 이상 70.3%다.

노조가 있는 사업체의 호봉제 비율은 67.8%에 달했지만, 노조가 없는 사업체는 11.2%에 불과했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업의 호봉제 비율이 68.6%로 가장 높고 전기·가스 공급업이 36.7%로 뒤를 이었다. 현재 노동부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정식 노동부 장관은 지난달 23일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향' 브리핑 당시 "인구구조, 근무환경, 세대 특성 등 시대적 변화를 반영해 합리적이고 공정한 임금체계를 준비해야 한다"며 "연공성 임금체계는 고성장 시기 장기근속 유도에는 적합하지만, 이직이 잦은 저성장 시대에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오 센터장은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재 별도로 관리되는 임금 정보와 직무 정보를 미국처럼 통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날 제2차 포럼에서는 천장현 머서코리아 부사장이 '기업들의 최근 인사관리 트렌드'를 발표했다. 천 부사장은 "새로운 업무 형태로의 변화가 가속할수록 사람이 가진 능력·지식을 일컫는 '스킬' 재교육이 중요하다"며 "근로자가 상위 직무를 맡을 수 있는 '스킬'을 계발하도록 지속해서 교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