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내주 캄보디아서 ARF 등 연쇄회의…"대북정책 지지 확보"
입력
수정
4일 한-아세안·한중일-아세안, 5일 北도 참가하는 ARF 예정…3년 만에 대면 개최
10개국 정도와 양자회담 추진…북한에선 외무상 대신 안광일 주아세안 대사 참석 박진 외교부 장관이 내달 3∼5일 캄보디아에서 개최되는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에 잇따라 참석한다고 외교부가 28일 밝혔다. 한-아세안, 아세안+3(한중일)가 3일,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 4일에 열린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새 정부의 대아세안 관계 강화 의지를 천명하고 "ARF 등에서 우리의 대북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는 중요한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가장 눈길을 끄는 일정은 ARF 외교장관회의다. ARF는 북한이 참석하는 유일한 역내 안보 협의체로 우리나라와 아세안 10개국,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27개국이 참여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2019년 회의 이후 3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되는 이번 회의에선 북핵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박진 장관은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와 7차 핵실험 동향 등 북한의 도발 상황과 함께 북한의 핵 위협은 억지(deterrence)하고 핵 개발 의지를 단념시키기(dissuasion) 위한 수단, 그리고 외교(diplomacy)를 함께 가동한다는 이른바 '3D' 전략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선 안광일 주아세안 대표부 대사 겸 주인도네시아 대사가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을 직접 비난하는 등 최근 대남·대미관계에서 공세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어떤 발언을 할지 주목된다.
일단은 자신들의 핵개발이 미국의 적대시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자위력 강화' 차원이라는 취지의 기존 입장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ARF외교장관회의 이후 발표될 의장성명의 문안 교섭 작업이 이미 시작돼 한국을 비롯한 각국은 자국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북한도 나름 노력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올해 의장국인 캄보디아가 북한과 상대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가 될 수 있다.
ARF와 EAS 외교장관회의에선 북한 문제 외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미얀마 사태, 남중국해 문제 등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박진 장관은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선 새 정부의 대아세안 정책 방향을 소개하고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에선 역내 보건 협력 강화, 공급망 안정화 등 코로나19 이후 조기 경제회복 달성방안을 중점 논의할 계획이라고 외교부는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신정부의 아세안정책은 지금까지 해왔던 신남방정책을 계속 확대, 강화하는 내용이 된다는 점을 설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아세안을 중시하는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박진 장관은 회의 기간 의장국인 캄보디아를 비롯해 아세안 국가들을 중심으로 10곳 정도와 양자회담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 등과의 양자 회담은 유동적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달 초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서 양자 회담을 진행하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준비 중"이라며 한일, 한미, 한중 외교장관회의 진행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0개국 정도와 양자회담 추진…북한에선 외무상 대신 안광일 주아세안 대사 참석 박진 외교부 장관이 내달 3∼5일 캄보디아에서 개최되는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에 잇따라 참석한다고 외교부가 28일 밝혔다. 한-아세안, 아세안+3(한중일)가 3일,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 4일에 열린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새 정부의 대아세안 관계 강화 의지를 천명하고 "ARF 등에서 우리의 대북정책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는 중요한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가장 눈길을 끄는 일정은 ARF 외교장관회의다. ARF는 북한이 참석하는 유일한 역내 안보 협의체로 우리나라와 아세안 10개국,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27개국이 참여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2019년 회의 이후 3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되는 이번 회의에선 북핵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박진 장관은 북한의 잇단 미사일 발사와 7차 핵실험 동향 등 북한의 도발 상황과 함께 북한의 핵 위협은 억지(deterrence)하고 핵 개발 의지를 단념시키기(dissuasion) 위한 수단, 그리고 외교(diplomacy)를 함께 가동한다는 이른바 '3D' 전략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선 안광일 주아세안 대표부 대사 겸 주인도네시아 대사가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을 직접 비난하는 등 최근 대남·대미관계에서 공세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어떤 발언을 할지 주목된다.
일단은 자신들의 핵개발이 미국의 적대시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자위력 강화' 차원이라는 취지의 기존 입장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ARF외교장관회의 이후 발표될 의장성명의 문안 교섭 작업이 이미 시작돼 한국을 비롯한 각국은 자국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북한도 나름 노력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데, 올해 의장국인 캄보디아가 북한과 상대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가 될 수 있다.
ARF와 EAS 외교장관회의에선 북한 문제 외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미얀마 사태, 남중국해 문제 등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박진 장관은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선 새 정부의 대아세안 정책 방향을 소개하고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에선 역내 보건 협력 강화, 공급망 안정화 등 코로나19 이후 조기 경제회복 달성방안을 중점 논의할 계획이라고 외교부는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신정부의 아세안정책은 지금까지 해왔던 신남방정책을 계속 확대, 강화하는 내용이 된다는 점을 설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아세안을 중시하는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박진 장관은 회의 기간 의장국인 캄보디아를 비롯해 아세안 국가들을 중심으로 10곳 정도와 양자회담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 등과의 양자 회담은 유동적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달 초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서 양자 회담을 진행하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준비 중"이라며 한일, 한미, 한중 외교장관회의 진행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