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이어 9월도 자이언트 스텝?…GDP와 CPI만 바라보는 Fed


미국 중앙은행(Fed)이 2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75bp(1bp=0.01%포인트) 올리면서 향후 금리 인상 경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장에선 28일 발표되는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과 향후 CPI 움직임에 따라 9월 이후 Fed의 금리인상 속도가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은 1분기에 -1.4%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2분기에도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최소한 기술적 경기침체로 해석돼 Fed의 금리를 빠르게 올리기엔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다.

통상 성장률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기술적인 침체에 접어든 것으로 본다. 미국의 경기침체 여부는 비영리 민간 연구기관인 전미경제연구소(NBER)가 공식판단한다.

다만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하더라도 조 바이든 행정부나 Fed는 경기침체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지난 24일 NBC 방송에 출연해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더라도 NBER이 경기침체로 판단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만약 NBER이 경기침체를 선언하면 매우 놀랄 것"이라고 말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도 옐런 장관과 비슷한 견해를 피력해왔다. 미 소비자물가지수(CPI) 움직임도 Fed의 긴축 속도를 결정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미국 CPI는 3월 8.5%에서 4월 8.3%로 소폭 하락해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친 것 아니냐는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5월 CPI가 8.6%를 오른 데 이어 6월엔 9.1%로 치솟아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웠다.

그러나 6월 중순 이후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이 단기적으로 정점을 쳤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하지만 물가가 8% 이상에서 유지되면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 Fed도 긴축 속도를 늦추기 어렵다는 예상도 있다.

전체적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되고 인플레이션이 완화하면 9월 이후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전망이다. 반면 2분기에 플러스 성장을 기록하고 물가가 좀체 잡히지 않으면 긴축의 고삐를 더욱 당길 가능성이 크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