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 역전 후폭풍…자금 이탈 등 한국 경제 영향은?

역사적 한미 금리 역전시기…자금은 되레 순유입
미국 경기침체로 인한 수출 위축 등 침체 우려

파월 "미국 경기침체 아니다"라 했지만…
오늘 경제수장들 금융시장 점검 예정
사진=뉴스1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7일(현지시간) 다시 '자이언트 스텝'을 밟으면서 한미 기준금리가 약 2년 반 만에 역전됐다. 미국 기준금리는 한국 기준금리(2.25%)를 추월했고 한미 금리는 2020년 2월 이후 약 2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금리 역전에 따른 자본 유출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미국 경제 침체가 한국 수출 등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p) 올린 2.25∼2.50%로 결정했다. 이른바 자이언트 스텝이다. 한미 기준금리 역전은 이미 예상했던 시나리오였다. 한미 기준금리까지 역전됨에 따라 한국은행(한은)도 연말 2%대 후반에서 3%까지는 기준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28일 우리나라 경제 수장들이 국내 금융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논의한다. 이날 오전 오전 7시30분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거금회의)'가 열린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이창용 한은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주요 결과를 비롯해 국제금융시장 동향, 내외 금리차 역전에 따른 금융시장 영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면 '외국인 자금이 한국 주식·채권 시장에서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가장 먼저 제기된다.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금리가 더 낮은 한국에 돈을 넣을 요인이 떨어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자금유출은 그리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미 금리는 역전 현상은 미국 금리 인상기마다 발생했다. 미국 금리 인상기는 1기 1996년 6월∼2000년 5월(한미 금리 역전기 1996년 6월∼2001년 3월), 2기 2004년 6월∼2006년 6월(2005년 8월∼2007년 9월), 3기 2015년 12월∼2018년 12월(2018년 3월∼2020년 2월)로 나눌 수 있다.1기였던 시기에는 미국 금리가 최대 1.50%포인트 높은 시기가 6개월(2000년 5∼10월)이나 지속됐다. 2기, 3기의 최대 역전 폭은 1.00%포인트(2006년 5∼8월), 0.875%포인트(2019년 7월)였다. 그러나 금리 역전 시기마다 외국인 증권(채권+주식) 자금은 모두 순유입됐다. 1기 시기에는 168억7000만달러, 2기에는 304억5000만달러, 3기에는 403억4000만달러 등이었다.

전문가들은 한미 간 금리 역전보다는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우려하고 있다. 긴축 재정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흔들린다면, 이미 둔화 양상이 보이고 있는 한국의 수출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CNBC방송이 이코노미스트와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등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러한 전망이 제기됐다. 물가 상승률을 낮추려는 연준의 노력이 경기침체를 유발할 것으로 생각하는 응답자가 63%를 차지했다.서영경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또한 "내년 경기와 관련해선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어느 한 방향으로 말씀드리긴 어렵다"면서도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둔화로 한국의 수출 여건이 악화할 수 있다. 빠른 금리 인상이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하반기에도 물가가 안정되지 않으면 금리 인상 속도가 더 가팔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이는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다. 실제 한은은 '금리 상승의 내수 부문별 영향 점검' 보고서에서도 이를 지적했다. 국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는 경우 민간소비는 최대 0.15%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수출이 둔화하는 가운데 민간 소비마저 위축된다면, 경기에 대한 우려는 커질 수밖에 없다. 지난 2분기 민간 소비는 전 분기보다 3.0% 증가하면서 경기를 이끌었다.

한편 제롬 파월 미국 연준의장은 물가 상승 압박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경기 침체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파월 의장은 이날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지난 달에 이어 또다시 0.75%포인트 인상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다음 (FOMC) 회의에서 이례적인 큰 폭의 금리인상이 적절할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통화정책 스탠스가 더욱 긴축적인 방향으로 가면서 (나중에는) 금리인상의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미국이 경기침체 상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미국의 경제에서 아주 잘 기능하고 있는 영역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이 매우 강한데 경기침체에 진입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반드시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미국이 침체를 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