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자금 썰물…한달새 105억달러

5개월째 유출은 17년 만에 처음
외국 자본이 신흥시장에서 5개월 연속 빠져나갔다. 사상 최장 기간 자본이탈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 공포와 미국 중앙은행(Fed) 등 주요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지난 3~7월 신흥국 주식과 채권에서 빠져나간 외국인 자금이 380억달러(약 49조6600억원) 이상”이라고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7월 한 달간 105억달러에 달하는 자본이 이탈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관련 통계를 추적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5개월 연속 자본 유출은 처음”이라고 전했다.선진국 자본시장에서 발행된 신흥국 채권에 대한 투자심리도 덩달아 급랭했다. JP모간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자들이 올 들어 현재까지 신흥국 외국환표시 채권 펀드(EM foreign currency bond fund)에서 회수해간 자금 규모는 300억달러에 이른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신흥시장에 대한 낙관론이 우세했다. 투자자들은 신흥국이 코로나19 충격을 딛고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Fed가 강력한 긴축(금리 인상)에 나서자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

선진국 금리가 오르자 금리차익을 노리고 신흥국 자산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빠르게 청산됐다. 세계 경기침체 우려가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한 영향도 컸다. 신흥국보다 더 안전한 선진국 시장에서 금리가 오르면 신흥시장에 남아 있을 유인이 사라진다.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신흥국 통화가치는 급락세다. 신흥국 채권의 가격은 폭락한 반면 수익률(채권 가격과 반대로 움직임)은 폭등하고 있다. 미 국채 수익률과 신흥시장 최소 20개국의 외국환표시 채권 수익률 간 격차(스프레드)는 최근 10%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졌다. 신흥국의 자본조달 비용이 커지면 재정적 스트레스가 심각해지고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제로 스리랑카가 해외 채무 디폴트를 선언했고,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