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공방(漢詩工房)] 題李凝幽居(제이응유거), 賈島(가도)
입력
수정
한경닷컴 더 라이피스트
<사진 출처 : baidu>
※ 오늘 소개하는 시와 해설은 역자가 예전에 작성하였던 논문인 <詩眼論(시안론)>에서 가져와 다소 손을 본 것인데, 해설은 시 전체가 아니라 시구(詩句) 일부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것임을 미리 밝혀둡니다.題李凝幽居(제이응유거)
賈島(가도)
閒居少隣幷(한거소린병)
草徑入荒園(초경입황원)
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
僧推月下門(승퇴월하문)
過橋分野色(과교분야색)
移石動雲根(이석동운근)
暫去還來此(잠거환래차)
幽期不負言(유기불부언)[주석]
題(제) : 애초에는 건물의 벽이나 기둥, 서화(書畵) 등 구체적으로 존재하는 기물에 시를 적는 것을 의미하였는데(때로 거기에 적은 시를 가리키기도 함), 나중에는 읊고자 하는 아무 대상 앞에 이 글자를 적어, 읊는 대상을 특정하기도 하였다. / 李凝(이응) : 가도(賈島)와 교유하였던 당(唐)나라 말기의 은자이다. / 幽居(유거) : 그윽한 처소, 고요한 거처.
賈島(가도) : 당(唐)나라 말기의 시인으로 자는 낭선(浪仙)이다. 애초에 승려가 되었다가 환속하여 장강 주부(長江主簿)를 지내기도 하였지만, 일생을 독신으로 가난하게 살았다. 퇴고(推敲)라는 말의 유래가 된 유명한 일화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閒居(한거) : 한가하게 살다, 한적하게 살다. / 少隣幷(소린병) : 함께 하는 이웃이 적다.
草徑(초경) : 풀 길. / 入荒園(입황원) : 황량한 정원에 들다.
鳥宿(조숙) : 새가 ~에 깃들다. / 池邊樹(지변수) : 연못가의 나무. ‘邊(변)’이 ‘中(중)’으로 된 판본도 있다.
僧推(승퇴) : 스님이 ~을 밀다. ‘推(퇴)’가 ‘敲(고)’로 된 판본도 있다. / 月下門(월하문) : 달빛 아래의 문.
過橋(과교) : 다리를 지나다. / 分野色(분야색) : 들녘의 빛이 나뉘다.
移石(이석) : 돌을 옮기다. / 動雲根(동운근) : 구름 뿌리가 움직이다, 구름이 움직이다. ‘雲根’은 보통 깊은 산속의 구름이 이는 곳을 가리키는데, 이 시에서는 ‘이는 구름’을 시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暫去(잠거) : 잠시 가다, 잠시 떠나가다. / 還(환) : 다시, 또. / 來此(내차) : 여기에 오다.
幽期不負言(유기불부언) : 이 시구는 동사 부분이 목적어 부분 사이에 삽입된 형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곧 “不負幽期言(불부유기언)”으로 표현해야 할 것을, 준수해야 할 시가의 격률 때문에, 목적어 부분인 ‘幽期’와 ‘言’ 사이에 동사 부분인 ‘不負’를 삽입시킨 것이다. 시가에서는 이런 일이 종종 있어, 시를 어렵게 만드는 이유의 하나가 되기도 한다. ‘不負’는 저버리지 않는다는 말이고, ‘幽期言’은 그윽한 기약의 말이므로, “不負幽期言”은 그윽한 기약의 말을 저버리지 않는다는 뜻이 된다.
[태헌의 번역]
이응의 고요한 거처에 적다
한적하게 사는지라 이웃도 적은데
풀길은 황량한 정원으로 들었다.
새는 연못가 나무에 깃들고
스님은 달빛 아래 문을 민다.
들 빛은 다리를 지나 나뉘고
구름은 바위를 옮길 듯 움직인다.
잠시 갔다가 다시 여기에 온 것은
그윽한 기약의 말 저버릴 수 없었기 때문.[번역노트]
이 시는, 시 자체보다는 이른바 ‘퇴고(推敲)’ 고사의 출처가 되는 함련(頷聯:3·4구)이 훨씬 더 널리 알려진, 당(唐)나라 가도(賈島)의 작품이다. 또 이 시는, 지어진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시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이 시는 해석과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던져 주고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이 시 안에 등장하는 ‘스님’이 과연 누구냐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가도는 한 때 승려 생활을 한 이력이 있다. 이 시가 만일 환속(還俗) 이후에 지어진 것이라면 ‘스님’은 당연히 제삼자일 것이고, 환속 이전에 지어진 것이라면 ‘스님’은 가도 자신일 수도 있다는 것이 바로 ‘스님’ 문제의 핵심이다. 그러나 이 시는 미련(尾聯:7·8구)의 내용으로 보아 가도가 환속한 후에 지은 시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미련은 분명 가도 자신의 말이기 때문이다. ‘그윽한 기약’이란 ‘함께 은거하자고 한 기약’을 뜻하는데 승려에게 은거라는 말은 가당찮은 것이므로, 당연히 세속인의 신분에서나 할 수 있음직한 기약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시의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스님이 제삼자라 할지라도 문이 산사(山寺) 혹은 암자의 문인지, 이응(李凝) 처소의 문인지 또한 규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역자는 이 작품 속의 ‘스님’은 제삼자로, 문은 이응 처소의 문으로 추정한다. 그 이유는 대개 ‘제시(題詩:벽 따위에 적어두는 시)’에서는 경물구(景物句)인 함련(3·4구)과 경련(頸聯:5·6구)에 시인 자신을 등장시키지 않고, ‘題’의 대상이 되는 처소나 주변의 풍광 혹은 그 주인과 관계되는 이야기를 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 시에서는 미련(7·8구)에 비로소 시인 자신을 등장시키고 있다. 또 ‘스님’을 가도 자신으로 하자면 대(對)의 구성도 별로 뛰어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스님’이 ‘새’와 마찬가지로 시인의 눈에 들어온 객관적인 대상일 때, 이 함련의 대는 수준 높은 경지를 보여줄 수 있다. 한 글자나 한 구절을 위하여 피를 말리듯이 ‘괴롭게 읊조린’, 가도와 같은 철저한 ‘고음파(苦吟派)’ 시인이 그냥 지나칠 사항이 절대 아니다.역자가 지금 이렇듯 다소 엉뚱하게 ‘스님’ 문제를 가지고 장황설을 늘여놓는 까닭은, 이 시의 해석과 관련하여 이 문제를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가난한 서생이었던 가도가 고관대작이자 대문호였던 한유(韓愈)와 교통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진, 이른바 ‘벽제(辟除) 사건’에 대해서도 잠깐 짚어보고 넘어가기로 한다. 벽제란, 전통시기에 제왕이나 관원(官員) 등의 귀인(貴人)들이 행차할 때, 선도하는 군졸들이 큰 소리를 질러 길을 비키게 하던 제도이다. 가도가 일찍이 벽제를 범(犯)한[벽제 사건을 일으킨] 적이 있기는 하지만, 정사(正史)의 기록에 따르면 한유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이다. 벽제 사건 당시의 경조윤(京兆尹:우리의 서울시장에 해당)은 한유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제 역자는 벽제 사건의 진위(眞僞) 여부를 떠나 ‘스님’을 제삼자로, ‘문’을 이응 처소의 문으로 보는 관점에서 ‘推(퇴:밀다)’와 ‘敲(고:두드리다)’의 본래적 의미에 무게 중심을 두고 두 경우의 시격(詩格)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함련(3·4구)의 시간적 배경은 만상이 잠자는 밤이고, 공간적 배경은 이응의 처소와 그 주변이다. 고즈넉한 달밤에 훠이훠이 은자를 만나러 온 스님이 지금 문 앞에 서있다. 이 상황에서 ‘敲’는 일차적으로 새를 포함한 잠든 만상에게 방해가 되는, 고요를 깨는 행위라는 측면에서 시의 격을 떨어뜨린다. 다음으로 ‘敲’는 문이 걸려있을 가능성을 강하게 암시한다. 문이 걸려있어 스님이 두드린 것이라면, 이응은 아직도 무엇인가를 두려워하는 세속의 흔적을 지우지 못한 은자이다. 문이 열려있는데도 스님이 두드린 것이라면, 스님은 은자인 이응에게 세속의 예를 갖추어야 할 정도로 아직 교분이 깊지 못한 것이거나, 이응을 여전히 세속의 사람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이에 반해 ‘推’는 확실히 문이 열려진 상태이다. 정확하게는 문이 열려져 있다는 사실을 알 때만이 취할 수 있는 행동이다. 선약이 따로 있어 미리 문을 열어둔 것일 가능성도 없지는 않겠지만, 마음을 트고 자주 내왕하다 보니 문 따위야 걸지도 않고 살아가는 은자의 습성을 익히 알아, 그야말로 자기 처소나 마찬가지로 여기며, 그저 아무 때나 밀고 들어갈 정도로 교분이 두터운 사이임을 얘기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물론 ‘推’의 행위 역시 고요를 깨는 소리를 수반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스님이 발길을 돌리지 않는 한 피해 갈 수 없는 소리이며, 또 어쩌면 그 시점 이전부터 바람의 호흡에 맞추어 규칙적인 소리를 내며 밤의 적막과 이미 깊은 교감을 거친 것일 수도 있다. ‘敲’가 두드리는 소리와 함께 삐걱거리는 소리를 곁들이는 것에 반해, ‘推’는 삐걱거리는 소리뿐이므로 ‘敲’보다는 주위에 끼치는 폐가 한결 적다. 더욱이 ‘敲’의 경우에는 안에 있을 주인이 깊은 잠에 빠져 있어 제 때에 못 듣기라도 했을 양이면, 고요를 깨는 소리는 더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런 저런 이유로 따져볼 때 ‘敲’보다는 ‘推’가 훨씬 자연스럽고 그에 따라 격이 높으리라는 것은 쉽게 추론해낼 수 있는 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음(苦吟)으로 호(號)가 난 가도가 그 두 글자를 두고 고민했다는 사실과, 그 당시 최고의 문호였던 한유가 ‘敲’가 더 좋겠다고 훈수를 두었다는 얘기는 여기서는 논외로 하기로 한다.
시문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자구(字句)를 고치는 일을 의미하는 ‘推敲’는, 결과적으로 독자들에게 심미감을 돋우는 기폭제로 기능하기 때문에, 창작 과정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에 수반하여 시에서는 위의 예처럼 글자 하나가 격의 차이를 확연하게 드러내 보이기도 한다. 이런 글자를 옛날 사람들은 ‘시안(詩眼)’, 곧 ‘시의 눈’이라고 하였다. 화룡점정(畵龍點睛)의 ‘눈동자’에 비유할 수도 있을 이 시안에 관한 얘기는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선택이 가능한 여러 글자 가운데 어느 글자를 택할 것이냐 하는 것은 전적으로 시인의 몫이지만, 우리는 시인의 그런 고뇌어린 선택을 역으로 추적해봄으로써, 때로 시인과 같은 창작의 기쁨을 얼마간 누려볼 수도 있다.
오늘 역자가 소개한 가도의 이 시는 오언율시이며, 압운자는 ‘園(원)’·‘門(문)’·‘根(근)’·‘言(언)’이다.
2022. 8. 2.<한경닷컴 The Lifeist> 강성위(hanshi@naver.com)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