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취약계층에 더 타격…저소득층 직장 유지율 8.4%p↓"
입력
수정
한경연, '코로나19가 2020년 취약계층 직장유지율에 미친 영향' 연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고용에 상대적으로 더 큰 충격을 안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3일 발표한 '코로나19가 취약계층 직장 유지율에 미친 영향'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첫해인 2020년 저소득층의 직장 유지율 변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직장 유지율이 약 8.4%포인트(p)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득층의 하락폭은 저소득층보다 낮은 약 3.2%p였다. 고소득층의 경우 직장 유지율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감소율을 전체 실직자 비율과 비교하면 저소득층 실직자의 경우 10명 가운데 4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었다고 답했다.
중소득층은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코로나19는 여성과 청년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입힌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통계를 보면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청년층과 여성의 직장 유지율은 각각 4.3%p, 3.5%p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코로나19에 따른 남성의 직장 유지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파악되지 않았다. 산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직장 유지율이 약 8.4%p 하락했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직장 유지율도 약 8.8%p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이나 여성 등 취약계층에서도 2020년 실직자 10명 가운데 3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숙박 및 음식점 사례에서는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실직자 10명 가운데 5.5명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보고서에서 "고용 위기가 닥치면 가장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직접 일자리 대응이지만 이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고 연속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근로의욕을 저하시키고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보다는 고용 경직성 완화, 고용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민간부문에서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제고해 노동시장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며 "현금 지급과 같은 사회적 안전망은 취약계층을 선별적으로 지원하고 노동시장으로의 복귀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과 연계하는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고용에 상대적으로 더 큰 충격을 안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3일 발표한 '코로나19가 취약계층 직장 유지율에 미친 영향'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첫해인 2020년 저소득층의 직장 유지율 변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직장 유지율이 약 8.4%포인트(p)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득층의 하락폭은 저소득층보다 낮은 약 3.2%p였다. 고소득층의 경우 직장 유지율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감소율을 전체 실직자 비율과 비교하면 저소득층 실직자의 경우 10명 가운데 4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었다고 답했다.
중소득층은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코로나19는 여성과 청년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입힌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통계를 보면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청년층과 여성의 직장 유지율은 각각 4.3%p, 3.5%p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코로나19에 따른 남성의 직장 유지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파악되지 않았다. 산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직장 유지율이 약 8.4%p 하락했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직장 유지율도 약 8.8%p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이나 여성 등 취약계층에서도 2020년 실직자 10명 가운데 3명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숙박 및 음식점 사례에서는 실직자 10명 가운데 약 3명이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실직자 10명 가운데 5.5명이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보고서에서 "고용 위기가 닥치면 가장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직접 일자리 대응이지만 이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고 연속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근로의욕을 저하시키고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보다는 고용 경직성 완화, 고용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민간부문에서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제고해 노동시장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며 "현금 지급과 같은 사회적 안전망은 취약계층을 선별적으로 지원하고 노동시장으로의 복귀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과 연계하는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