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보드 하던 '디어', 화물 SaaS 사업 진출…시리즈B 투자로 '실탄' 확보
입력
수정
모빌리티 솔루션 스타트업 디어코퍼레이션(디어)은 파인만자산운용 등으로부터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3일 발표했다. 디어가 지금까지 유치한 누적 투자액은 120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공유킥보드 서비스를 운영해온 디어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화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신사업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디어는 전국 120개 지역에서 1만5000대 규모의 공유킥보드를 운영해왔다. 서비스 가입자 수는 110만 명으로 알려졌으며 지난해에는 200억원 매출을 달성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회사는 그동안 킥보드 공유 서비스 가맹 사업주를 위한 기업 간 거래(B2B) SaaS를 개발하며 관련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쌓아왔다. 이를 올해부터 신설한 화물 솔루션 사업부에 응용해 신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디어는 시장 규모 약 33조원의 '미들 마일 화물 시장'(중간물류 시장)을 공략한다. 미들 마일 화물 시장은 화주와 차주 사이를 주선사가 중개하며 계약과 배차가 이뤄지는 구조다. 다만 주선사 업계는 전산화 정도가 낮아 대부분의 업무를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디어는 주선사의 비효율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이 최소 1조4000억원에서 최대 5조원까지 이른다고 파악하고 있다.
디어 화물 솔루션 사업부가 올해 말 출시 예정인 ‘캐리’는 미들마일 화물 시장에서 주선사의 단순 반복 작업을 전산화해 업무를 최대 10분의 1로 줄여주는 RPA(업무 자동화) 도구다. 디어 관계자는 “올해 9월부터 거래액 200억원 규모의 베타 테스트를 시작해 캐리의 완성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밝혔다.파인만자산운용 관계자는 “디어 구성원의 높은 인재 밀도와 기술력이 투자의 주요한 근거로 작용했다”며 “녹록지 않은 시장 상황에서도 적은 투자로 성장과 이익을 모두 달성한 점을 높이 샀다”고 밝혔다.
팽동은 디어 대표는 “창업가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주주 가치와 직원 가치 제고를 위해 미래의 주당 현금흐름을 높이는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어는 구성원의 성장과 멘토링을 위해 최근 우아한형제들에서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영입하고, 전략 컨설팅 업체 베인앤드컴퍼니에서 최고전략책임자(CSO)를 영입하는 등 인재 영입에 집중하고 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디어는 전국 120개 지역에서 1만5000대 규모의 공유킥보드를 운영해왔다. 서비스 가입자 수는 110만 명으로 알려졌으며 지난해에는 200억원 매출을 달성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회사는 그동안 킥보드 공유 서비스 가맹 사업주를 위한 기업 간 거래(B2B) SaaS를 개발하며 관련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쌓아왔다. 이를 올해부터 신설한 화물 솔루션 사업부에 응용해 신사업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디어는 시장 규모 약 33조원의 '미들 마일 화물 시장'(중간물류 시장)을 공략한다. 미들 마일 화물 시장은 화주와 차주 사이를 주선사가 중개하며 계약과 배차가 이뤄지는 구조다. 다만 주선사 업계는 전산화 정도가 낮아 대부분의 업무를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디어는 주선사의 비효율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이 최소 1조4000억원에서 최대 5조원까지 이른다고 파악하고 있다.
디어 화물 솔루션 사업부가 올해 말 출시 예정인 ‘캐리’는 미들마일 화물 시장에서 주선사의 단순 반복 작업을 전산화해 업무를 최대 10분의 1로 줄여주는 RPA(업무 자동화) 도구다. 디어 관계자는 “올해 9월부터 거래액 200억원 규모의 베타 테스트를 시작해 캐리의 완성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밝혔다.파인만자산운용 관계자는 “디어 구성원의 높은 인재 밀도와 기술력이 투자의 주요한 근거로 작용했다”며 “녹록지 않은 시장 상황에서도 적은 투자로 성장과 이익을 모두 달성한 점을 높이 샀다”고 밝혔다.
팽동은 디어 대표는 “창업가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주주 가치와 직원 가치 제고를 위해 미래의 주당 현금흐름을 높이는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어는 구성원의 성장과 멘토링을 위해 최근 우아한형제들에서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영입하고, 전략 컨설팅 업체 베인앤드컴퍼니에서 최고전략책임자(CSO)를 영입하는 등 인재 영입에 집중하고 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