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과속의 역설…제주 태양광 올해만 22번 가동 중단
입력
수정
지면A3
발전 비중 20% 넘어섰는데2030년까지 도내 전력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 중인 제주도에서 올해 상반기에 전력망 과부하 우려로 태양광발전이 20여 차례나 멈춰 선 것으로 9일 확인됐다.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급증한 제주도에서 전력 공급망 불안이 가시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력 생산량은 들쑥날쑥
툭하면 공급망 과부하 초래
열흘에 한 번꼴로 '출력제어'
한국전력이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태양광발전 출력제어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한전은 올해 제주도에서 3월 6일부터 6월 1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태양광발전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출력제어 조치를 내렸다.
작년에 단 한 차례에 불과했던 태양광발전 가동 중단 조치가 올 들어 폭증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64회였던 풍력발전 출력제어도 올 들어 상반기에만 벌써 60회에 달했다.
제주도에서 태양광·풍력발전 출력제어 문제가 먼저 불거진 것은 신재생에너지 확대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전체 전력설비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67%에 달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도 20%를 넘어섰다. 제주도는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2030년까지 도내 전력의 100%를 생산한다는 ‘CFI2030’ 계획을 2012년 발표한 이후 에너지 자립화를 추진하고 있다.문제는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가 크게 늘면서 제주도의 전력계통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태양광발전 효율이 높은 봄철에 송·배전망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전력 생산량이 많아지면서 전력 과부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올해 상반기 열흘에 한 번꼴로 태양광발전을 멈춰 세웠다. 이는 생산전력이 송·배전망 한계를 초과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대정전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한전은 출력제어를 할 때마다 발전업자 손실을 보전해줘야 한다”며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질수록 출력제어 문제는 더 심해질 것”이라고 했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현상이 제주도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우려했다. 전력계통망 불안은 신재생에너지가 늘어나면 불가피하게 따라오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국내 태양광 발전 설비는 문재인 정부 출범 첫해인 2017년 말 5GW 규모에서 현재 20GW를 넘어섰다.
게다가 ‘에너지 섬’인 한국은 신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전력계통망 불안 문제를 해결할 마땅한 수단이 없다. 유럽은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늘어난 국가들은 낮에 에너지를 수출하고, 밤에 수입하는 방식으로 수급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잉여전력을 해외로 내보내는 선택지를 택할 수 없다.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할 수 있지만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점은 부담이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20~30%를 넘어서면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게 매우 까다로워진다”며 “전력망 구축 작업에 맞춰 신재생에너지 보급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