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앱 많지만 허가 2개뿐…기준 정비해야"
입력
수정
지면A13
송승재 벤처기업협회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장“코로나19 사태 이후 많은 비대면 진료 앱이 개발됐지만 정식 의료기기 허가를 거친 앱은 두 개뿐입니다. 의료인과 환자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송승재 벤처기업협회 디지털헬스케어정책위원장(사진)은 지난 1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비대면 진료 활성화를 위해선 정부 정책의 일관성이 중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송 위원장은 디지털헬스케어 기업 라이프시맨틱스 대표다. 라이프시맨틱스는 비대면 플랫폼 닥터콜을 활용해 2020년 6월 재외국민 대상 비대면 진료서비스 임시허가를 받았다.
그는 비대면 진료 플랫폼 허용 범위 등을 정한 보건복지부의 가이드라인에 아쉬움을 표했다. 송 위원장은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적절한 제도와 규제도 중요하지만 정해진 기준이 잘 적용돼야 한다”고 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정부 행정조치가 다소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의료기기법에 따르면 원격진료를 할 때 의사가 사용하는 서비스와 제품은 의료기기로 규정돼 있다.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도 의료기기 허가가 필요하다. 송 위원장은 “인허가를 받지 않은 의료기기로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면 불법 진료가 된다”고 했다.복지부는 디지털헬스케어·보건의료데이터 진흥 및 촉진법안도 마련하고 있다. 그는 “기업이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며 “금융 마이데이터처럼 데이터 취급자의 보안 수준을 담보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의미다.
송 위원장은 팬데믹 이후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에 혁신적 변화가 많이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정부와 의료계, 국민이 비대면 진료가 기존 의료체계의 조력자로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했다. 비대면 진료 등을 바라보는 인식이 바뀌면서 자연히 시장이 조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