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득 역대 최대 증가…고물가에 실질소비 증가율은 0.4%
입력
수정
손실보전금 지원 덕에 올해 2분기 가계소득이 1년 전보다 12% 넘게 늘어나면서 역대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에 쓴 돈의 비중(평균소비성향)은 2분기 기준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고 물가 상승 영향에 실질소비 증가율도 0.4%에 그쳤다.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3만1천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12.7% 증가했다.
이는 1인 가구 이상을 포함하는 가계동향조사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래 역대 가장 큰 소득증가율이다. 물가 상승 영향을 제외하면 6.9% 늘었다.
정부에서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지난 5월부터 소상공인에 지급한 손실보전금이 영향으로 이전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9%나 급증했다.또 일상 회복에 따른 서비스업 업황 개선, 취업자 수 증가로 근로소득(5.3%)과 사업소득(14.9%) 역시 늘었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1만9천원으로 1년 전보다 5.8% 증가했다. 2분기 기준 2010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증가율이 높았지만, 소득 증가율(12.7)에는 크게 못 미친다.
평균소비성향은 1년 전보다 5.2%포인트 하락해 2분기 기준 역대 최저인 66.4%를 기록했다.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일시적으로 손실보전금이 약 21조원가량 지원되면서 소득이 많이 증가했다"며 "그래서 소득과 소비 간 격차가 커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물가 상승에 따른 효과를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0.4%에 그쳤다. 소비 지출이 5.8% 증가한 것은 물가가 오른 영향이 컸고 가계가 소비를 늘린 건 아니라는 의미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분위(하위 20%)의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5%, 2분위는 0%로 그대로였다. 소득이 낮은 가구는 소비를 거의 늘리지 못했다는 의미다. 3분위의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5.7%, 4분위는 6.6%로 늘었다. 또 소득분배 정도를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60배로 전년동분기(5.59배) 보다 소폭 높아졌다. 5분위 배율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 정도가 나빠졌다는 의미다.
기획재정부는 "전반적인 고용과 업황 개선세, 소득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소득·분배상황을 비롯한 현재 우리경제의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소득·분배여건 개선을 위해 물가안정을 통한 저소득층 부담 완화,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등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전민정기자 jmj@wowtv.co.kr
하지만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에 쓴 돈의 비중(평균소비성향)은 2분기 기준 200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고 물가 상승 영향에 실질소비 증가율도 0.4%에 그쳤다.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3만1천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12.7% 증가했다.
이는 1인 가구 이상을 포함하는 가계동향조사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래 역대 가장 큰 소득증가율이다. 물가 상승 영향을 제외하면 6.9% 늘었다.
정부에서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지난 5월부터 소상공인에 지급한 손실보전금이 영향으로 이전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4.9%나 급증했다.또 일상 회복에 따른 서비스업 업황 개선, 취업자 수 증가로 근로소득(5.3%)과 사업소득(14.9%) 역시 늘었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1만9천원으로 1년 전보다 5.8% 증가했다. 2분기 기준 2010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증가율이 높았지만, 소득 증가율(12.7)에는 크게 못 미친다.
평균소비성향은 1년 전보다 5.2%포인트 하락해 2분기 기준 역대 최저인 66.4%를 기록했다.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일시적으로 손실보전금이 약 21조원가량 지원되면서 소득이 많이 증가했다"며 "그래서 소득과 소비 간 격차가 커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물가 상승에 따른 효과를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0.4%에 그쳤다. 소비 지출이 5.8% 증가한 것은 물가가 오른 영향이 컸고 가계가 소비를 늘린 건 아니라는 의미다.
소득구간별로 보면 1분위(하위 20%)의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0.5%, 2분위는 0%로 그대로였다. 소득이 낮은 가구는 소비를 거의 늘리지 못했다는 의미다. 3분위의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5.7%, 4분위는 6.6%로 늘었다. 또 소득분배 정도를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60배로 전년동분기(5.59배) 보다 소폭 높아졌다. 5분위 배율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 정도가 나빠졌다는 의미다.
기획재정부는 "전반적인 고용과 업황 개선세, 소득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소득·분배상황을 비롯한 현재 우리경제의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소득·분배여건 개선을 위해 물가안정을 통한 저소득층 부담 완화,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등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