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분이 살 확률은 50%입니다"…AI가 '암 생존율' 진단
입력
수정
서울대 연구팀 암 진단 지표 개발암 생존율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서울대는 권성훈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문경철·박정환 의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암 조직 속 세포들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해 환자의 생존율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연구팀은 암 조직 속에 있는 서로 다른 세포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암 세포와 면역 세포 간의 거리, 분포도, 암 세포의 혈관형성 정도 등을 살펴본 것이다.
미국의 암 환자 5000명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생존율이 높은 환자들에게 공통적인 특징이 있음을 발견했다. 암 세포와 면역 세포의 거리가 비교적 가깝고, 세포들을 연결했을 때 특정한 패턴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게재됐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