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족' 1인당 대출 年이자 1년 만에 129만원 늘었다
입력
수정
지면A14
기준금리 2%P 오른 영향지난해 8월 한 시중은행에서 연 3% 금리로 4억원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30년 만기·원리금균등상환)을 받은 직장인 우모씨(42)는 이달 연 5%까지 뛴 이자율을 보고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월 168만원이던 대출 원리금이 214만원으로 46만원이나 늘었기 때문이다.
차입자 이자 상환 부담 커져
은행들, 일제히 예적금 금리↑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인상 여파로 상단 금리가 연 6%를 돌파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연 7%대를 넘어설 가능성이 커졌다.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지표금리인 은행채(무보증 AAA) 5년물 금리도 지난주보다 0.2%포인트 상승해 추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
한은은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1인당 연간 이자 부담이 16만1000원씩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했다. 1년간 기준금리 2%포인트 인상에 따른 1인당 이자 부담 증가액은 128만8000원에 이른다. 한은의 올해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는 두 차례(10·11월)다. 국내외 주요 기관은 한은이 두 번의 금통위에서 0.25%포인트씩 금리를 인상해 연말엔 기준금리를 연 3%까지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올해 말엔 1인당 연간 이자 부담 증가액이 161만원에 달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가계대출 금리가 연 7% 수준까지 오르면 최저 생계비를 빼고 대출 원리금을 갚기 힘든 사람이 19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은행들은 일제히 예·적금 금리를 올렸다. 하나은행은 26일부터 주요 수신상품 26종(예금 8종, 적금 18종)의 금리를 최대 0.3%포인트 인상한다. 우리은행도 같은 날부터 48개 예·적금 금리를 최고 0.5%포인트 상향 조정한다. 국민·신한·농협은행도 오는 29일부터 주요 예·적금 기본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올린다.
하지만 은행 예·적금 금리가 오르면 은행이 대출 재원으로 쓰는 자금의 조달 비용을 지수화한 코픽스도 동반 상승해 대출금리를 끌어올리게 된다. 지난 7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2.90%로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