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실화냐"…27억 찍었던 잠실엘스, 매물 가격에 '술렁'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서울 잠실의 한 공인중개사무소에 급매물을 알리는 안내문이 내걸려 있다. /김범준 기자
'강남 불패'라는 인식마저 흔들리는 것일까요. 가팔라진 금리 인상에 부동산 시장 둔화 전망이 확산하면서 강남에서도 수억원씩 집 값이 떨어진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이른바 '대장 아파트'인 잠실엘스가 대표적입니다. 국민평형이라고 불리는 전용면적 84㎡ 기준 아파트가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20억원 밑으로 호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협상 가능한 가격으로 19억5000만원대에 아파트 매물(1층)이 나와있는 상황입니다.지난해 10월 만 해도 27억원에 최고가 매매가 이뤄졌던 아파트입니다. 올 3월에는 24층이 26억7000만원에 매매 거래가 실제 체결됐고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고 주택 거래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올 4월엔 23억~24억원대(10~18층), 6월엔 22억~24억원대(1~11층)에 실제 매매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서울 송파구에 있는 강남권 대표 대단지 아파트인 헬리오시티 역시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20억원 마지노선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지난달 초에 이미 10층 매물이 20억9000만원에 실제 거래가 완료됐습니다. 올 초엔 직거래이긴 하지만 19억1000만원(1층)에 실제 거래가 이뤄진 적이 있고요. 지난해 10월엔 최고가 23억8000만원에 거래가 됐던 단지입니다.
호가 뿐 아니라 실제 거래 가격이 계속 내림세를 띠자 주민들을 중심으로 거래 사유를 파악하는 일들까지 벌어지고 있습니다. 한 두건의 특이 사례가 전체 단지 가격 형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에섭니다. 업계 관계자는 "세금, 부채, 사업 자금, 금융 부담, 경매 등 다양한 이유들로 시세 보다 수 억원씩 낮은 가격에 아파트 매물들이 나오고 있다"며 "이같은 매물을 통상적인 시세로 여기긴 어렵지만 부동산 전망이 그리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실수요자들이나 거래 시장에 어떤 방식으로든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강남을 비롯한 서울 곳곳에서 집 값 하락 사례가 나타나고 있지만 거래는 살아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7월 서울 아파트거래량은 639건으로, 2006년 1월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습니다.

올 8월 아파트 거래량도 300건을 밑돌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월 거래량이 1000건을 밑돈 건 지난 2월 이후 두 번째입니다. 금리 인상과 집값 고점 인식 확산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올 2월 820건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이후 3월 대통령선거와 이에 따른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가 반영되면서 일시적으로 거래량은 회복되는 듯 했습니다.하지만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고 이에 따른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거래 절벽이 지역을 가리지 않고 심화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3만7000여 가구가 몰려 있는 용산에선 올 8월 한 달간 고작 2건의 매매가 이뤄진 게 대표적입니다. 마포구와 서초구 거래량도 각각 7건에 그쳤습니다.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생애 첫 부동산(집합건물·토지·건물) 매수자를 집계한 결과 올 들어(1~7월) 전국 부동산 생애 첫 매수자는 26만7066명으로 지난해(42만8789명)에 비해 37.7% 감소했습니다. 2010년 관련 통계가 공개되기 시작한 이후 가장 적은 수치이기도 합니다.

다만 부동산 시장 관계자들은 급격한 집 값 하락이 계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이 이어지는 동안에 일시적인 집 값 조정과 거래 절벽이 나타나겠지만 폭락 수준의 급격한 하락은 쉽지 않을 것이란 설명입니다.서울 용산구에 있는 한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현재는 급매물을 처분하고 싶어도 집 값이 더 내려갈 것이라고 여기는 실수요자들이 많아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도 "몇 년간 급격하게 오른 집 값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순 있지만 정부가 각종 규제를 더 완화하고 매수 심리가 살아나기 시작하면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집 값 방어 현상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