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 대표 "카톡으로 맞춤형 건강관리…헬스케어 사업 새 그림 그린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

의사 직접 마주하는 시간 외엔
카카오플랫폼으로 케어 받도록
의료정보 비대칭 최소화가 목표

병원·스타트업과 긴밀한 협력
글로벌 진출은 선택 아닌 필수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 뛰어든 글로벌 빅테크엔 공통점이 있다. 소프트웨어든 하드웨어든 세계 수억 명의 플랫폼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 플랫폼에 새 서비스를 얹으면 신사업이 된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이런 식으로 뛰어든 사업 중 하나다. 국내 테크 기업이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 뛰어드는 방식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중 하나가 카카오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사진)는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하기에 유리한 플랫폼을 카카오만큼 다양하게 보유한 회사는 국내에 없다”고 했다.

“의료 정보 비대칭 해소”

분당서울대병원 교수였던 황 대표가 카카오로 옮긴 건 지난해 말이다. 올해 3월 카카오헬스케어가 출범하면서 최고경영자(CEO)가 됐다. 그리고 지금까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의 밑그림을 그려왔다.

그는 “‘메시지를 공짜로 보낼 수 없을까’라는 생각이 카카오톡의 출발이었다”며 “카카오헬스케어의 시작은 ‘의료진과 일반 국민의 의료 정보 비대칭을 어떻게 최소화할 수 있을까’였다”고 했다. 그가 말하는 비대칭은 국민에겐 일상적인 일이다. 3개월에 한 번 대학병원을 찾는 환자가 의사를 만나는 시간은 길어야 3분 남짓. 의사를 직접 마주하는 시간은 1년에 12분이다. 황 대표는 “나머지 364일 23시간48분은 환자 스스로 건강 관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환자가 혼자 있는 시간에는 카카오 플랫폼으로 케어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카카오 플랫폼을 매개로 병원(의료진)이 보유하고 있는 의료 정보를 환자에게 알려줘 의료 정보의 ‘비대칭’을 ‘대칭’으로 바꾸는 것이 황 대표의 목표다. 환자가 의료진이 갖고 있는 자신의 진료 정보를 손쉽게 볼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미다. 의사 진료를 대체하겠다는 건 아니다. 황 대표는 “의사를 대신하려는 접근보다 병원과 환자 간 정보의 비대칭을 해소하는 식의 접근이 병원과 환자, 정부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수용성이 크다”고 했다.

“병원의 조력자 되겠다”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환자 개개인의 의료 정보가 있어야 한다. 서비스 영역별로 전문 기술도 필요하다. 카카오헬스케어는 두 가지를 외부 협력을 통해 끌어올 계획이다. 황 대표는 “카카오가 잘할 수 있는 건 분석한 데이터를 플랫폼에 담아 맞춤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병원 소유의 데이터는 가져올 생각이 없다고 했다. 병원 안에서 분석하겠다고 했다. 그는 “병원의 ‘데이터 파트너’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헬스케어 스타트업과도 협력하겠다고 했다. 개별 서비스에 대한 지식을 스타트업만큼 전문적으로 쌓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카카오가 지니너스, 포트레이, 스카이랩스 같은 회사들과 협력하는 이유다. 황 대표는 “협력 범위와 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며 “스타트업이 카카오 같은 플랫폼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윈윈이 될 것”이라고 했다.

“국가별 맞춤 파트너십 고려”

세계 헬스케어 시장의 절반은 미국이고 4분의 1은 유럽이다. 황 대표는 “글로벌 진출을 고려하지 않는 건 좁은 국내 시장에 스스로를 가둬버리는 것”이라고 했다. 글로벌 진출은 필수라는 얘기다. 다만 고민스러운 지점도 있다. 카카오 플랫폼을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건 어디까지나 국내여서다. 그는 “카카오의 역량을 극대화할수록 국내 사업이 된다는 건 딜레마”라며 “국가별 맞춤 파트너십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글=한재영 /사진=허문찬 기자 jyha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