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바이오서도 中 견제…반도체 수출 통제는 개별기업→산업전반으로 확대
입력
수정
블룸버그통신은 11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내 바이오 생산설비 확대를 지원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행정명령 초안은 신약부터 생체 조직, 연료, 식품에 이르는 바이오 제품과 재료의 미국 내 제조 시스템을 강화하는 전략을 담고 있다. 고급 인재 육성 계획도 포함했다. 미 행정부는 이 전략을 통해 자국 바이오 업체가 생산비를 낮추고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은 바이오부문 연구개발(R&D)에선 세계를 선도하고 있지만 생산설비는 다른 산업들처럼 상당 부분을 해외로 외주화했다. 미국 국가안보와 정보 담당자들은 첨단 제품 생산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바이오산업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됐다.
중국은 지난 5월 신기술 개발, 헬스케어·농업·연료 산업 육성 등을 담은 바이오경제 개발 5개년 종합 계획을 내놨다.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 부문에서도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미국 상무부가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와 관련 기술 및 장비 수출을 제한하는 법안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상무부는 앞서 반도체 장비업체인 KLA, 램리서치, 어플라이드머티리얼스 등 3개 사에 14㎚(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이상급의 첨단 반도체 생산에 활용하는 장비를 중국에 수출할 때 허가를 받도록 하는 규제를 부과했다. 상무부는 또 최근 엔비디아와 AMD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칩에도 같은 제한을 내렸다. 중국 주요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등에 활용해 온 반도체여서 중국 AI 산업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상무부가 준비하는 법안은 이제까지 개별 기업마다 부과했던 제한을 산업 전반으로 확대하는 내용이다.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제품이나 기술을 일정 수준 이하로 통제하겠다는 시도다. 예컨대 엔비디아의 칩을 장착한 서버를 중국에 수출하는 델이나 HP도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미국은 이런 제도를 우방국들에도 도입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