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비수도권에 'BBC(배터리·바이오·반도체)' 67조원 투자한다
입력
수정
지면A12
3대 핵심 성장동력 강화
5월 179兆 투자 계획 세부안
향후 5년간 지방경제 활성화
청주에 신규 반도체 라인 건설
구미·영주·세종에 각 1兆 투입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222248.1.jpg)
SK그룹은 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투자 및 연구개발(R&D) 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SK그룹은 5년간 국내에 179조원을 투자하는 내용을 담은 중장기 투자계획을 지난 5월 내놨다. 이 중 비(非)수도권에 37.4%인 67조원을 투자해 지방경제 활성화와 국토 균형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비수도권 투자는 △반도체·소재 30조5000억원 △그린(친환경) 22조6000억원 △디지털 11조2000억원 △바이오·기타 2조8000억원 등으로 나뉜다. SK 관계자는 “5월 공개한 투자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비수도권에 예정된 투자 계획을 따로 분류했다”고 설명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9/AA.31222247.1.jpg)
SK그룹은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생산시설에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5년에 걸쳐 투입할 예정이던 국내 투자분 179조원 중 73조원을 올해와 내년에 모두 집행하기로 했다.
내년까지 집행될 국내 투자는 △반도체·소재 48조7000억원 △그린 12조8000억원 △디지털 9조8000억원 △바이오·기타 2조2000억원 등이다. 기술력 향상을 위해 5년간 반도체·소재·그린 등의 R&D 분야에 25조원을 투입한다.일자리를 늘리는 데도 앞장서기로 했다. SK그룹은 지난해 채용 인원인 8500명보다 50% 늘어난 1만3000명 이상을 올해 채용하기로 했다. 창사 이후 최대 규모다.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1000명 이상을 채용할 계획이다. SK그룹 관계자는 “핵심 전략산업의 국내 생산 시설을 확대하고, 대규모 R&D 투자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예정”이라며 “국내 고용을 창출하고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의 협력업체와도 동반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