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로봇산업 수요 많지만…글로벌 경쟁력은 떨어져"

한국이 로봇 사용 수요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이면서도 로봇산업의 경쟁력은 주요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15일 발표한 ‘글로벌 로봇산업과 한국의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용 및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2020년 기준 243억달러(약 33조8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에서도 한국의 로봇 시장은 30억달러(약 4조2000억원) 규모로 세계 시장의 12.3% 가량을 차지한다. 한국은 특히 로봇을 많이 쓰는 나라다. 산업 현장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어서다. 노동자 1만명당 설치된 로봇 대수(로봇밀도)는 한국(932대)이 전 세계 평균(126대)을 훨씬 웃돈다. 일본(390대) 독일(371대) 미국(255대) 중국(246대) 등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산업 현장에서 로봇이 얼마나 많이 쓰이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의 종합적인 경쟁력(7.4점)은 미국(8.4점) 일본(9.5점) 중국(7.5점) 독일(9.3점) 스위스(8.3점) 6개국 중 가장 낮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주로 일본 등에서 로봇이나 로봇 부품을 수입해서 쓰는 데 그친다는 것이다. 로봇 부품의 생산 역량에 관한 조달 부문에서 일본의 경쟁력은 10점 만점에 9.8점이지만 한국은 6.7점에 그쳤다. 로봇 감속기의 61%, 서브 모터의 65%를 일본에서 수입한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또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고 연구개발(R&D) 비용을 100% 공제해 주는 한편 글로벌 인수합병(M&A)을 통해 정부 주도로 로봇산업을 키우고 있는 중국과 비교해서도 한국 산업의 경쟁력이 뒤처지는 상황이다.

전경련은 특히 소프트웨어 관련 인력이 부족해 하드웨어 전문가가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담당하는 등 분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인력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4차산업의 핵심분야인 로봇산업은 제조업 경쟁국들이 미래의 산업 주도권을 위해 전략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분야 중 하나”라며 “한국은 부품의 수입 의존도 개선,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및 산업 내 분업 구조 활성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선제적인 규제 혁신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