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면 내리네'…코로나19 이후 개인 주식 수익률 더 낮아져

한국금융연구원 보고서
코로나19 확산 이후 신규 투자자들이 대거 진입하면서 개인의 수익률이 되레 낮아졌으며, 이런 변동성 확대를 막기 위해선 주식 관련 대출 심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금융연구원 곽준희 연구위원은 18일 '코로나19 전후 개인투자자의 손익률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의 투자자별 주식거래 실적 등을 이용해 598개 종목의 개인 매매의 수익률을 분석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가 2017년 1월∼2019년 12월과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020년 1월∼2021년 8월을 나눠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확산 이전에는 개인의 순매수세가 강했던 주로부터 20일 후까지 주가가 상승하고, 순매도세가 강했던 주로부터는 20일 후까지 하락했다.

개인이 주식을 사면 일정 기간은 올랐고, 팔면 내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반대 현상이 나왔다고 분석했다.

개인의 매수세가 강한 주로부터 20일 이후에도 주가는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소폭 하락했고, 이미 주가가 상승한 후에야 매수세가 강해지기도 했다면서다.

보고서는 "개인의 매도세가 강한 주로부터 20일 이후 일부 주가가 하락하는 경향도 여전히 관찰됐지만, 코로나19 이전보다는 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이전에는 개인이 외국인과 기관에 유동성을 공급해줌으로써 프리미엄으로 초과 수익을 올렸다"면서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에 힘입어 경험이 거의 없는 초보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유입되면서 개인의 매매 수익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라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의 비중은 2019년 64.8%에서 2021년 73.0%로 상승했다.

또 총 거래대금을 봐도 같은 기간 2천964조원에서 9천885조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개인투자자가 기업의 가치 평가보다는 추세에 따라 군집행동을 하면서 주가 변동성을 완화해주는 역할도 줄고, 손실을 보는 경향이 확대되며 가계 재무 건전성도 낮아질 수 있다는 의견이다.

곽 연구위원은 "개인투자자의 과도한 차입을 억제하기 위해 금융기관 차원에서 신용융자와 신용 대주 등 증권 관련 대출 심사를 강화하고, 다중채무자의 경우 증권사가 자체적인 기준으로 신용매매를 제한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또 증권사 등은 투자 관련 온라인 기초교육 과정을 만들어 놓고, 이를 이수하는 신규 투자자에게 한시적으로 수수료를 인하하는 유인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