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 쇼크에 해외투자 많은 보험사도 비용부담↑
입력
수정
변동성 확대로 환헤지비용 증가 전망
"환헤지 비중 변경 등 포트폴리오 고민해야"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금융사가 있는데요, 바로 해외투자 규모가 큰 보험사입니다. 대부분의 보험사들은 환율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해 변동성을 줄인 단기상품으로 헤지를 하고 있는데, 금리와 함께 환율까지 계속해서 오를 경우 헤지비용 역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장슬기 기자입니다.
1,400원선을 코 앞에 두고 있는 원달러 환율.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서 '킹달러 쇼크'가 현실화되자, 해외투자 비중이 높은 국내 보험사들, 특히 장기보유 상품이 많은 생명보험사의 외환리스크도 높아졌습니다.
올 상반기 기준 생명보험사들이 보유한 외화유가증권 규모는 92조 원. 특히 생보업계 '빅3'인 삼성생명과 한화생명, 교보생명의 보유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환율이 오르면 보유한 해외자산 가치가 높아지지만, 보험사들은 전체 외화자산의 85% 가량을 '일정 시점의 환율에 미리 고정하는' 환헤지를 통해 환리스크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장기상품이 많은 생보사 특성상 장기 외화채권을 보유하고 있는데, 환율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통화스와프 등 단기파생상품으로 헤지하는 방식입니다.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지속적으로 급등하고 미국과의 금리 격차까지 벌어지게 되면 보험사 입장에선 환헤지 빈도가 높아지고, 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겁니다.
실제 지난 2018년 무역분쟁으로 환율이 크게 올랐을 때 생명보험업권의 환헤지 비용은 약 2조 원에 달했습니다.
만기 도래가 상대적으로 짧은 손해보험사의 경우에도 올해 환헤지 계약을 연장하기 위해선 약 1,000억 원 가량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환율변동성에 따라 기존 담보가치가 낮아졌다고 보고 증거금을 더 요구하는 경우도 있어 보험사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차호성 예금보험공사 금융산업분석부 선임조사역 : 보험사들이 환헤지를 하는 이유가 외화현금흐름을 안정화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지급여력(RBC)비율이나 지급여력제도(K-ICS)상의 요구자본 대응을 위한 측면도 있거든요. 환헤지를 굳이 요구자본 관리를 위해 치중하지 않고 비용을 고려해서 비용편입분석 등을 추가로 반영해서 환헤지 전략을 수립하는 게 좋겠다… ]
금융감독원은 아직 국내 보험사의 외환리스크를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보고 있진 않지만, 고금리·고환율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한국경제TV 장슬기입니다.
장슬기기자 jsk9831@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