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베스팅닷컴] S&P 500 지수: 2022년만큼 안 좋았던 시기의 역사가 말해 주는 것
입력
수정
By 이즈마엘 (Ismael De La Cruz)
주식, 지수, 환율, 원자재, 채권 등을 다루는 금융시장 애널리스트입니다.
(2022년 9월 19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2022년은 178거래일 동안의 S&P 500 지수 실적이 6번째로 안 좋은 해였다. 미국 증시 벤치마크 지수 S&P 500의 각 금요일 실적 역시 최악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나스닥 100 지수는 2022년 글로벌 지수 중에서 최악의 실적을 기록 중이다
지난주 8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이후 S&P 500 지수는 완전한 약세 분위기로 전환되었다. 1928년부터 2022년까지 연초부터 178거래일까지의 실적을 비교해 보면, 2022년의 S&P 500 지수는 짧은 여름 반등에도 불구하고 역사상 6번째로 안 좋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암울한 기준
2022년에 S&P 500 지수가 1% 이상 하락했던 금요일은 지금까지 12번이었다. 주 5일 거래가 시작되었던 70년 전부터 살펴보면, 1% 이상 하락을 겪은 금요일 수가 올해보다 더 많았던 때는 1974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8년 이렇게 단 5개 연도 밖에 없었다. 이때는 공통적으로 모두 증시가 좋지 않았던 시기였다.
올해가 끝나기 전까지는 아직 많은 금요일이 남아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록이 세워질 수도 있다. 1% 이상 하락이 나타난 금요일은 2001년 12번, 2022년 13번, 2000년 14번, 1974년 및 2008년에도 14번이었는데 올해에는 이미 12번의 금요일이 해당된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앞으로 15번의 금요일이 더 남아 있다.
2022년 최악의 지수
지난주 5.8% 하락(1월 이후 최대 주간 하락)한 나스닥 100 지수는 올해 주요 글로벌 증시 지수 중 최악의 실적을 기록 중이다. 8월 중순 여름 반등이 종료된 이후 3주 동안 4% 이상 하락했다.
투자자 심리(AAII) * 낙관적 심리(향후 6개월 동안 증시 상승 기대)는 43주 연속 역사적 평균 38%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비관적 심리(향후 6개월 동안 증시 하락 기대)는 지난 43주 중 42주 동안 역사적 평균 30.5%를 지속 상회하고 있다.
미 2년물 국채금리는 앞으로 수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장단기 국채금리 차이는 1980년대 이후 가장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월가에서는 이미 2년물 국채금리가 4~4.5%로 상승하고 10년물 국채금리는 3%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그러나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이 S&P 500 지수 상승을 막았던 적은 1973년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역사적으로 볼 때 S&P 500는 11개월 동안 상승세를 이어갔고, 해당 기간 동안 8% 이상 상승했다.
날아오르는 미국달러
미국달러 대비 엔은 강력한 약세를 지속하면서 24년래 최저치로 떨어졌다. 연준과 일본은행(BOJ) 간 금리차가 급격하게 벌어져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증시 실적 순위
올해 들어 지금까지 글로벌 증시 실적 순위는 다음과 같다. 브라질 iBovespa: +6% 인도 BSE Sensex 30: +1.52% 영국 FTSE: -2% 일본 Nikkei: -4.25% 스페인 IBEX: -8.37% 프랑스 CAC: -15.04% 미국 다우존스: -15.18% 유로 Euro Stoxx 50: -18.57% 미국 S&P 500: -18.73% 이탈리아 MIB: -19.15% 독일 DAX: -19.79% 중국 CSI 300: -20.40% 미국 나스닥: -26.82%
주: 필자(Ismael De La Cruz)는 글에서 언급된 증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해당 기사는 인베스팅닷컴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기사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