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원순 칼럼] 기업 지방이전, 법인세보다 소득세 감면으로
입력
수정
지면A34
9개월 만에 '휘청' 부울경 메가시티‘부울경(부산·울산·경남) 특별연합’에서 빠지겠다는 경상남도의 최근 발표는 아쉽지만 사실상 예고된 것이었다. “실익이 없다”는 이유 그대로일 것이다. 동남권 메가시티는 앞서 울산시가 ‘해오름 동맹론’을 외칠 때 이미 금이 갔다. 새 시장 부임 두 달도 안 돼 울산은 포항·경주와 옛 신라문화권의 해오름 동맹 실무협의에 들어갔다. 인구 111만 명 울산도 333만 부산, 327만 경남과 짝이 되느니 50만 포항, 25만 경주와 함께 가는 게 지역 발전에 ‘실익’이라고 판단했을 만하다.
중앙 정부 서류행정의 예고된 한계
회사보다 직원 상대 유인책 세워야
개인소득세 10년 면제 등 파격 필요
특혜 논란 키우는 역발상 나설 때
허원순 논설위원
800만 명의 부울경 단일화 구상은 9개월 전 나왔을 때부터 막연했다. 문재인 정부가 임기를 다섯 달 남기고 던진 안이었다. 두 개 이상 시·도가 모이면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할 수 있다는 지방자치법 근거 규정을 본 것이었는데, 정권 교체에 지자체장까지 바뀌자 바로 이 모양이다. 대전·세종·충남북 등을 묶는 다른 특별지자체 구상도 덩달아 어두워졌다.논의의 핵심은 지역 살리기다. 저출산 자체보다 더 걱정인 지방인구 급감과 수도권 비대화 해소 차원에서 권역 통합안이 나왔지만 진척이 어렵다. 이 수준의 느슨한 통합조차 쉽지 않지만, 옥상옥의 행정조직 신설 정도로는 어려운 게 균형발전이란 해묵은 숙제다.
현 정부 들어서도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지방분권법과 국가균형발전법 통합도 그런 노력이다. 그 바탕에 성장촉진지역 개발, 기업·대학·공기관 이전 같은 낯익은 과제가 또 제시됐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SKY대+특목고 연계 이전론’도 내놨다. 고향세 도입 같은 감성팔이 행정도 있다. 하지만 가죽신 위로 가려운 발 긁어대는 것 같다. 설령 지자체를 통합한다고 해도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충분조건은 못 된다.
효율적 지역 살리기는 역시 기업 유치다. 수없이 거론된 대안이다. 최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균형발전 세미나에서도 거듭 확인됐다. 각 지방으로 기업 이전이나 신규 건설을 어떻게 꾀할 것인가. 아무리 절실해도 민간 기업을 억지로 움직일 수는 없다. 공기업을 인위적으로 분산시킨 혁신도시를 보면 종업원이 가족과 함께 가는 게 중요하다. 특단의 유인 방법은 기업 종사자 개인에 대한 소득세 감면이라고 본다. 법인세와 기업의 소득세 감면 같은 기존의 회사 대상 감세 정도로는 안 된다. 법인 감세도 기업 경영에선 유인책이지만, 종사자는 체감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사나 주력 사업장을 이전하면서 근로자들이 가족과 함께 옮겨가면 개인 소득세를 10년쯤 면제해주고 신설 기업인 경우에는 5년 면제와 5년 50% 감액 같은 파격 지원을 고려해봄 직하다. 연봉 8000만원 직장인은 연간 1000만원 이상의 소득세를 면제받는 효과를 볼 수 있다. 5000만원을 받는 신입 사원도 수백만원의 이익을 볼 수 있다. 지원 강도가 셀수록 기업 종사자 다수가 지방행에 동의하고, 노조도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부족하면 건강보험료 감면도 안 될 것 없다. 부지 제공 같은 혜택은 오히려 후순위로 검토할 일이다. 당연히 특혜 시비가 나올 것이다. 특혜 시비는 클수록 좋다. 유치 효과 또한 특혜 논란에 비례할 것이다. 특혜라는 게 ‘비용’, 정확히는 ‘유치 성사를 위한 대할인’이라는 점을 자각하는 게 중요하다. 그래야 ‘거래’가 이뤄진다. 지역을 살리는 이런 윈윈의 거래는 도학자가 아니라 상인이, 법만 보는 딸깍발이 관료보다 비즈니스맨이 잘한다. 지역소멸 위기 앞에서 지자체는 을도 못 되는, 병(丙)·정(丁)이라는 사실을 지방 주민뿐 아니라 균형발전 주창자들도 알아야 한다.
메가시티나 지방 행정조직을 정비하지 말자는 게 아니다. 당장 실현 가능하고 효과도 바로 나타나는 방안에 집중하자는 것이다. ‘기피시설 지자체 공모제’ 같은 것으로 보완하면 더 좋다. 주민 2만4000명 청송군이 몇 백 명의 교도관 상주 효과를 기대하며 법무부에 추가 교도소 유치를 제안한 게 좋은 사례다. 쓰레기 소각장 문제로 맞붙은 서울시와 마포구의 대립도 발상을 전환해 경기도 외곽이나 접경 강원도의 군(郡)을 대상으로 하는 ‘입지 경매’로 풀어볼 만하다. 서울시민에게 쓰레기 비용을 더 부과해 그 돈으로 유치 지역을 살릴 수 있다. 이탈리아 로마는 화물열차로 스위스에 비싼 비용으로 쓰레기 수출도 한다. 위기의 지방 구하기가 정부 설계만으로 잘 안 된다는 사실이 탁상의 메가시티 육성안에서 확인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