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지는 러 징집반대 시위…도요타·마쓰다 공장 폐쇄

기업도 사람도 脫러시아

軍동원령 반발…수천명 구금
정부, 징역·상환 유예 강온책 제시
장기전 전망에 일본車들 아예 짐싸

유럽은 '에너지 자립' 가속페달
佛토탈, 카타르에 15억弗 투자
'친러' 헝가리, 러원전 도입 재검토
러시아 곳곳에서 예비군 동원령에 반대하는 시위가 발생했다. 24일(현지시간)에만 도시 30여 곳에서 시위 참가자 740여 명이 구금됐다. 러시아 정부는 전투 거부 시 처벌 수위를 높이면서도 징집 대상자에게 채무 상환을 유예해주는 강온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징집을 피하려는 이들의 탈출 행렬이 계속되고 있다. 외국 기업들도 러시아에서 발을 빼기 시작했다.

러 32곳에서 反징집 시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독일 인권단체인 OVD인포는 “이날 모스크바 등 도시 32곳에서 징집 반대 시위로 최소 745명이 구금됐다”고 밝혔다.러시아 청년 반전 단체인 베스나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무덤으로 징집 금지”를 외치며 시위를 주도했다. 러시아는 정부가 미승인한 집회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러시아가 예비군 30만 명 동원을 공표했던 지난 21일에도 러시아 내 도시 38곳에서 징집 반대 시위로 최소 1312명이 체포됐다.

징집을 피하기 위한 탈출도 이어지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카자흐스탄, 조지아, 핀란드 등으로 가는 도로 교통량이 급증했다. 주변국들도 대응에 나섰다. 19일 폴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은 러시아인의 입국을 제한하기로 했다. 스타니슬라브 자린 폴란드 총리실 국가안보책임자는 23일 “군 복무를 피해 오는 러시아인들은 반정부 목적이 아니라 개인적인 두려움으로 도피하는 것”이라며 입국 거부 이유를 설명했다. 핀란드도 “러시아인의 관광 입국을 막겠다”는 뜻을 이날 밝혔다.

탈출하려는 러시아인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건넨 곳도 있다.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의회 상임의장은 “동원령을 피해 탈출하는 러시아인을 유럽이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EU 회원국 대사들은 러시아인 유입 대응 방안을 26일 논의할 계획이다. 몽골 정계 실세인 차히야 엘벡도르지 전 몽골 대통령도 “동원을 피해 도망 온 러시아인들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징집 반발에 러시아 정부는 처벌 강화와 입영 유인책을 함께 제시했다. 러시아 인테르팍스통신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부 승인 없이 항복하거나 전투를 거부한 자국 군인을 최대 10년의 징역형에 처하도록 하는 법안에 서명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러시아중앙은행은 동원령 대상자가 주택담보대출 미상환으로 퇴거당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과 이들의 채무 상환을 유예할 것을 대출기관에 권고했다.

러시아 떠나는 글로벌 기업

전쟁이 길어질 조짐을 보이자 기업들은 러시아에서 짐을 싸고 있다. 이날 NHK에 따르면 도요타는 상트페르크부르크 공장을 폐쇄하기로 했다. 일본 자동차업계가 러시아 공장을 정리하는 첫 사례다. 지난해 차량 8만 대를 생산한 이 공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부품 공급난으로 지난 3월 가동이 중단됐다. 닛산자동차, 미쓰비시자동차, 마쓰다 등 다른 일본 자동차 업체도 러시아 공장을 돌리지 못하고 있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의 대안을 찾고 있는 프랑스 에너지업체 토탈에너지는 카타르 투자를 늘리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토탈에너지는 카타르 가스전 개발을 위해 15억달러(약 2조1300억원)를 투자하기로 카타르 에너지부와 합의했다. 지난 6월 20억달러 투자 계약을 체결한 뒤 나온 추가 투자 결정이다. 독일 티센그루프, 지멘스, SAP 등과 네덜란드 에어버스의 임원들도 중동 투자 확대를 위해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함께 25일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를 방문한다.그간 ‘친러’ 행보를 보이며 러시아산 원자로를 들여오려던 헝가리는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러시아 스푸트니크통신에 따르면 헝가리는 러시아 원전 도입 프로젝트에서 금융 조달 창구를 러시아 브네쉬에코놈방크에서 가스프롬방크로 바꾸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대러시아 제재를 받는 은행과의 거래를 피하기 위한 포석이다.

페테르 시야르토 헝가리 외무장관은 “원전 기술 이전에서도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며 러시아 기술을 도입했다가는 인허가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앞서 러시아와 원자로 도입 계약을 체결했던 핀란드는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지난 5월 이 계획을 철회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