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강국 선언 24년…한국 여전히 AI 문맹국
입력
수정
지면A1
AI 전사 키우자“한국의 인공지능(AI) 교육과 활용도는 ‘문맹국’ 수준이다. 더 방치하면 디지털 대전환 경쟁에 뒤처져 주변국으로 전락할 것이다.”
한경·입소스 750명 설문조사
직장인 10%만 "AI 적극 활용"
25일 한국경제신문 AI경제연구소가 주최한 국가 디지털 전략 관련 웨비나에서 나온 신랄한 진단이다. 디지털 강국이라고 자부하는 한국이지만 국민의 AI 경쟁력은 기대 이하란 지적이다. 김진형 KAIST 명예교수 겸 인천재능대 총장은 “일부 대기업의 모범 사례를 국가 경쟁력으로 착각하면 안 된다”며 “중견기업으로만 내려가도 전문적인 역량을 보유한 인재는 씨가 말랐다”고 말했다.한국경제신문이 여론조사업체 입소스에 의뢰해 국민 750명을 대상으로 한 ‘AI와 소프트웨어 교육’ 설문조사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 직장인 중 AI를 적극적으로 업무에 활용한다는 비율은 10%에 불과했다. 10명 중 7명꼴인 69.7%는 AI 개념 정도만 알고 있다고 답했다. 회사에 자체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는 비율은 33%에 그쳤다.
AI 공교육 역시 위태로운 수준이다. “자녀들의 미래를 위해 국어·영어·수학보다 AI 교육이 더 중요하다”는 학부모의 응답이 절반을 넘었지만(53.2%), 소프트웨어 교육 시간이 충분하다는 비율은 27%에 불과했다.전문가들은 김대중 정부가 1998년 ‘정보통신(IT) 강국’을 내세운 지 24년이 지났지만, 코앞에 다가온 AI 시대에 대비하는 수준은 낙제점이라고 입을 모은다. 윤석열 대통령이 ‘디지털 인재 100만 명 양성’을 공약으로 내걸고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기로 한 것도 그동안 디지털 강국이라는 자기도취에 빠져 미래 대비에 실패했다는 진단에 따른 것이다.
서정연 LG AI연구원 인재육성위원장은 “지금 제일 필요한 것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준비할 수 있는 교육”이라며 “AI 교과를 독립 과목으로 지정하고 초등학교 때부터 매주 최소 한 시간 이상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형석/황정수 기자 click@hankyung.com